공동동호회실 문화공유공간 조성한다며 1억1000만원 지출
학내 구성원 “공동동호회실? 그런 공간이 있다구요”
90만원대 의자를 414만원으로 4.6배 부풀려
총장실에 있는 의자와 스피커 빼놓곤 구입물품 어디론가 사라져
묶음기사
- 【기획:충북도립대 세금도둑들 2】 세금으로 ‘억대 패거리 투어’ 다녔다
- 【기획:충북도립대의 세금도둑들 1】제주도 호화연수 교수들, 성과급 잔치 벌였다
- 충북도립대, 제주이어 부산 연수비도 2배 이상 뻥튀기
- 충북도립대 제주연수, 오성호텔+ 요트투어+와인파티에 전신테라피까지
- 충북도립대 대학혁신지원비로 나이아가라도 갔다
- 김용수 충북도립대총장, 이번엔 '저출산' 해외 출장
- 충북도립대 제주멤버, 지난 해 10월에도 해외 다녀왔다
- 충북도립대 사태, 김영환 지사 ‘인사참사’ 책임론 확산
- 1인당 1000만원 제주 연수, 김영환 지사 조카도 갔다
- 【기획:충북도립대의 세금도둑들 4】혈세로 산 골프공은 누가 가져 갔을까?
- 【충북도립대의 세금도둑들 5】 국회의원‧도의원 서명까지 조작했다
- 【기획:충북도립대의 세금도둑들 6】 집으로 출장가는 총장님
- 【충북도립대의 세금도둑들 7】 총장 모친상 안 갔더니 학과장직 해임
- 【충북도립대의 세금도둑들 8】총장님 방 앞 2억짜리 소회의실
- 비리연루 충북도립대 교수 4명 보직해임
- 【충북도립대 세금도둑들9】20명 템플스테이, 7명 면접교육에 억대 지출
- 충북도립대 비리교수 반쪽짜리 해임이었다
- 【충북도립대 세금도둑들10】관용차 운전기사는 총장님 몸종?
- 【충북도립대의 세금도둑들11】 ‘구입가격=수리비’ 이걸 믿으라구요?
- 【충북도립대 세금도둑들12】후배 업체에 10일 사이 수의계약 2억 몰아줘
- 【충북도립대 세금도둑들 : 특별판】대국민 400억사기극 펼쳤다
- 【충북도립대 세금도둑들13】 여기가 AI‧차세대영상 스튜디오라고?
- 【충북도립대 세금도둑들14】황제연수 패거리, 보직도 싹쓸이
- 【충북도립대 세금도둑들15】 총장 차에 실린 홍보물품, 어디로?
- 충북도, 김용수총장 징계 ‘해임’ 결정…그래도 김 총장에겐 남는 장사
- 【충북도립대 세금도둑들16】 서류조작업체에 추가 대가 제공
- 【충북도립대 세금도둑들17】 도지사 조카 등 범죄자 보호 시작됐다

지난 2월 충북도립대학교는 두 차례에 걸쳐 연수나 워크숍을 핑계로 제주와 부산을 오가며 1억여원이 넘는 세금을 사용했다. 명목은 연수였지만, 실상은 관광이었다. 오성급 호텔에 머물고 요트를 타고, 전신 마사지를 받았다. 제주도 연수는 총장과 부인, 보직교수 등 4명이 갔는데, 15명이 간 것처럼 서류를 조작했다. 1인당 1000만원 가량 세금으로 흥청망청했다. 부산 연수도 참석자가 조작되고 비용이 부풀려졌다.
이것은 빙산의 일각이었다. 충북도립대는 교육부에서 지원된 ‘도립대 혁신사업비’ 수십억원을 제 맘대로 썼다. 실험실습 기자재를 구입한다며 구입하지도 않은 물품을 구매한 것처럼 서류를 조작했다.
일부는 예산낭비 수준을 넘어 범죄로 의심되는 행위였다. <충북인뉴스>는 국민들이 피땀 흘리며 낸 세금을 훔쳐간 충북도립대 일부 구성원들이 벌인 ‘세금 도둑질’ 내역을 탈탈 털어 연속으로 보도한다. <편집자주>


충북도립대학교(이하 충북도립대)가 2022년부터 올해 2월까지 교육부로부터 교육비는 ‘혁신지원사업비’는 총 120억원에 이른다.
앞서 보도했듯이 충북도립대 김용수 총장과 핵심 보직교수(5명)들은 이돈을 가지고, 제주도 호화연수에 5000여만원, 부산 워크숍에 5000여만원, 관광성 일본출장에 2700여만원, 강원도 영월 연수에 670여만원 등 1억3000여만원을 허투루 사용했다.
이 과정에서 비용을 부풀리고, 서류를 조착해 참가인원을 조작했다.
이들이 1인당 1000만원을 들여 제주도에 가서 요트를 타고 전신마사지를 받았던 지난 2월 충북도립대는 ‘동동 동호회실 문화공유공간’을 만든다며 조성공사 및 기자재를 구입하는데 1억1000만원을 사용했다. 세부적으로 공사비 5500만원, 기자재 구입비 5500만원을 사용했다.
사업담당 부서는 산학협력단으로 김영환 충북도지사의 조카인 B교수가 단장을 맡고 있다.
사업비는 교육부가 준 혁신지원사업비에서 사용했다.

하지만 충북도립대 구성원 중 이 공간을 아는 사람은 전혀없었다.
이 학교 사무국장도, 혁신지원사업 총괄 책임자인 교학처장 A교수도 ‘공동 동호회실’이란 공간에 대해 처음 들어본다고 했다.
심지어 해당 예산을 지출한 산학협력단 직원도 그 공간이 어디인지 모른다고 답했다.
다만 충북도립대 내부 서류에는 ‘정보관 1층’이라고 기재돼 있다.
이런 저런 수소문 끝에 해당 공간을 찾아냈다.


출입구에는 ‘조리제빵과 사무실’이란 명판이 부착돼 있는데, 충북도립대 정보관 1층에 위치해 있다.
충북도립대 직원에 따르면 이곳은 지난 3월 국무조정실 감사 때 문제가 ‘공동동호회실’에 대해 추궁을 받자 이곳을 ‘공동동호회실’이라고 둘러댄 장소다.
문을 열고 들어가보니 집기라곤 달랑 책상 두 개뿐 있을 뿐이다. 심지어 의자조차 없었다.
공동동호회실이란 명판도 없었다.
서류에는 5500만원 어치 기자재를 구입했다고 돼있다. ‘공동 동호회실 문화공유공간 조성을 위한 기자재 구매 계획(안)’ 문서에 따르면 ‘스마트 음향 피드백 및 분석시스템 1식 ’, ‘통합데이터 제어시스템 1식’, ‘공간 음향 분석 및 감성 연구용 스피커 1개’, ‘연구 몰입 환경조성을 위한 인체공학 의자 3개’, ‘고품질 사운드 분석 및 콘텐츠 제작용 헤드폰 3개’ 등 9개 기자재를 구입했다.
총장실로 빼돌려진 기자재


충북도립대가 밝힌 구입목적은 학생들의 취미와 관심사를 반영한 다양한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서다. 설치장소는 공동동호회실이다.
충북도립대가 국무조정실 조사 당시 공동동호회실이라고 설명한 해당 공간에는 책상 2개 이외엔 아무것도 없는 상황.
이 물품은 어디로 갔을까?
학교 전체를 이 잡듯이 뒤진 결과 ‘연구 몰입 환경조성을 위한 인체공학 의자’ 3개 중 1개와 ‘공간 음향 분석 및 감성 연구용 스피커’ 1대의 행방을 간신히 찾았다.
인체공학의자 3대중 한 대는 총장실 한 귀퉁이에 있었다. 스피커 또한 얼마 전 까지 총장실에 있었다고 한 직원이 증언했다.
학생들의 다양한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구입한 물품이, 총장실로 빼돌려진 것이다.
나머지 집기의 행방도 묘연하다. 충북도립대 사무국장도, 교학처장도, 산학협력단 직원도 행방을 아는 이가 전혀 없었다.
구입가격 최대 4.6배까지 부풀려졌다
충북도립대학교가 밝힌 ‘연구 몰입 환경조성을 위한 인체공학 의자’ 1대당 가격은 414만7000원(단 377만원, 부가세 37만7000원)이다. 3대를 구입하는데 1250만원 가량 들어갔다.
총장실에서 발견된 의자의 실제 단가는 얼마일까? 동일 제품을 인터넷으로 검색한 결과 판매가는 1대당 90만원(부가세포함) 안팎이었다.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실제 가격보다 4.6배나 비싼 가격이다.
제주도 호화연수와 부산 워크숍처럼 경비가 부풀려졌다.
해당 물품은 어디서 납품했을까?

납품기업은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V’업체다. 이 회사 등기부등본에 따르면 ‘인공지능기반 응용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공업’, ‘학습정보 온라인 서비스업’을 주로하는 업체다.
이 회사의 대표자 S씨는 충북도립대 보직교수 Y씨의 후배로 전해졌다.
Y교수는 충북도립대 혁신지원사업의 기자재구입 업무를 총괄하는 위치에 있다.
이 업체는 ‘공동동호회실 기자재 구입’ 업무 이외에도 대학평가, 드론과 같은 실험실습실 기자재 구입 등 여러 업무에 관여돼 있다.
V업체 대표 S씨는 “하고 싶지 않았는데, 학교에서 부탁을 해, 손해를 보면서도 좋은 제품을 골라 납품했다”며 “정해진 수량 그대로 납품했다”고 말했다.
시중가보다 최대 4.6배나 부풀려진 것의로 의심되는 상황이지만, 오히려 손해를 봤다는 것이다.
계약방식은 수의계약으로 진행됐다. 일반적으로 2000만원 이하만 수의계약이 가능하지만, ‘여성기업’이라는 점을 들어 수의계약 대상이 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