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학비연대, “윤 교육감 책임있게 나서야”…파업찬성률 93,86%

충북학교비정규직연대회은 지난 9월 기자회견을 열고 집단임금 교섭 전 임금요구안을 발표했다.
충북학교비정규직연대회은 지난 9월 기자회견을 열고 집단임금 교섭 전 임금요구안을 발표했다.

 

충북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이하 충북학비연대)가 △최저임금에도 못 미치는 기본급 △방학 중 무임금 △복리후생 차별 등 노동환경 개선을 촉구하며 파업을 예고했다.

이들은 “올해 교섭이 또다시 공전하고 저임금과 차별을 해소할 계기를 만들지 못한다면, 투쟁은 단발로 끝나지 않을 것”이라며 “오는 11월 20일~21일과 12월 4일~5일 각각 상경 총파업을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교육공무직본부 충북지부와 학교비정규직노조 충북지부, 민주노총 충북지역본부 연대체인 충북학비연대는 29일 오전 10시 충북교육청 앞에서 이러한 내용을 담아 기자회견을 연다.

이들은 “교육부와 시도교육청들이 교섭이 가능한 임금 교섭안을 제시하지 않고 ‘수용 거부’ 말만 반복하며, 사실상 교섭 진전의 책무를 팽개쳤다”며 “파업은 우리가 원해서 택한 길이 아니”라고 강조했다.

앞서 충북학비연대는 ‘학교 비정규직 2025년 임금 단체협약 체결을 위한 쟁위 행위 찬반투표’를 진행했다.

결과에 따르면, 충북 조합원 4299명 중 파업 찬반 투표에 참석한 인원은 3842명이고, 이중 ‘파업 찬성’은 3606명(93,86%)다.

충북학비연대는 “충북교육청과 1년 5개월 39차례 단체 교섭을 진행했지만 합의에 이르지 못해 현재 충북지방노동위원회에서 조정을 진행 중에 있다”며 “학교비정규직 노동자의 차별해소와 처우개선을 위해 윤건영 교육감이 책임있게 나서지 않는다면 결코 타결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급식, 돌봄, 특수교육, 교무, 행정, 상담, 시설관리, 도서관, 유치원 등 학교 현장을 멈춰 세울 것”이라며 “학교 일상이 멈추지 않게 할 열쇠는 교육감의 역할과 결단에 달려있다”고 전했다.

한편 전국학비연대는 2017년부터 전국 17개 시도교육청과 임금 협약을 체결해 오고 있다. 올해 노조는 지난 6월 2일 교섭 요구를 했고, 9월 2일 요구안을 전달했다. 이후 6차례 교섭을 진행했으나 의견 차가 좁혀지지 않았고 10월 23일 중앙노동위원회에 조정 신청했다. 27일까지 2차 조정을 진행했으나 결국 합의가 안 됐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