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급 인상 △직무보조비 신설 △각종 수당 비정규직 차별 해소 요구

 

 

10월 15일 진행된 학비연대 집단임금교섭 결렬 규탄 기자회견 모습. (사진=충북인뉴스DB) 
10월 15일 진행된 학비연대 집단임금교섭 결렬 규탄 기자회견 모습. (사진=충북인뉴스DB) 
충북학비연대는 지난달 18일 임금 인상을 촉구하며 충북교육청 주차장에서 천막농성에 돌입했다.
충북학비연대는 지난달 18일 임금 인상을 촉구하며 충북교육청 주차장에서 천막농성에 돌입했다.

 

충북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가 집단 임급교섭 결렬에 따라 오는 6일 총파업을 선포했다.

전국학비연대회의는 교육부와 전국 17개 시·도교육청과 집단 임금협상을 진행했다. 올 6월부터 9번의 실무교섭과 4차례의 본교섭을 실시했으나, 협의에 이르지 못했다.

전국학비연대회의는 실질임금 하락률을 반영한 임금인상안과 더불어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차별 해소를 위한  복리후생 수당 지급기준 개정 등을 촉구하고 있다.

3일 충북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이하 충북학비연대, 학교비정규직노조 충북지부와 교육공무직 충북지부)는 보도자료를 통해 전국 총파업 참여를 예고했다.

충북학비연대는 “대한민국은 OECD 국가 중 성별임금격차가 가장 큰 나라이며, 학교비정규직의 90%는 여성노동자”라며 “학교비정규직의 열악한 처우는 중장년 여성 노동자들의 가치를 폄하하는 사회의 인식 구조가 만들어낸 결과물”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급식실 현장은 최저임금에 못 미치는 기본급, 방학 중 무임금으로 인한 생계 문제, 고강도 노동과 폐암 산재 위험으로, 사람을 구하지 못해 아우성”이라며 “이러한 상황에도 사측은 조리종사자 처우개선 대책으로 ‘급식위생수당 6만원’을 들고 나왔다. 고작 1만원 인상을 대책이라고 내놓은 것”이라고 규탄했다.

이들은 “임금 체계 개편 등 노조의 요구안에 사측은 수용불가 입장으로 일관하고 있다”며 “정부와 교육당국은 학교비정규직 노동자의 전국적인 총파업 투쟁에 응답하여, 교섭 타결을 위한 해법을 제시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지난 10월 28일 충북학비연대는 쟁의행위 찬반투표 결과를 발표했다. 충북 내 3879명 조합원 중 94.5%가 파업에 찬성했다.

이들은 11월 18일부터 16일째 충북도교육청 청사 앞에서 천막농성을 진행하고 있다.   

학비노조 충북지부는 오는 6일 서울에서 열리는 전국 총파업대회에 참석할 계획이다. 같은날 교육공무직본부 충북지부는 도교육청 앞에서 전국 동시다발 기자회견을 실시한다. 

노조는 1800여명의 조합원이 파업에 참여할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한편, 충북교육청은 학비노조의 총파업과 관련해 ‘파업대응 TF’를 구성․운영한다고 밝혔다.

충북교육청은 파업 기간 동안 △학교급식 △늘봄학교 △특수교육 △유아교육 등 분야별 대과 상황실을 운영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