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일 학교에서는 일하는 비정규직노동자들이 가입한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가 파업을 예고한 가운데, 충북지역 시민단체가 정부와 교육청의 대책마련을 촉구했다.
오는 20일 학교에서는 일하는 비정규직노동자들이 가입한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가 파업을 예고한 가운데, 충북지역 시민단체가 정부와 교육청의 대책마련을 촉구했다.

 

오는 20일 학교에서는 일하는 비정규직노동자들이 가입한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가 파업을 예고한 가운데, 충북지역 시민단체가 정부와 교육청의 대책마련을 촉구했다.

13일 충북교육연대는 성명을 내고 “학교가 멈추지 않으려면, 이제 정부와 교육청이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급식실에서 점심을 준비하는 손, 돌봄교실에서 아이들의 하루를 지키는 손, 특수교육실에서 아이 한 명 한 명을 살피는 손, 그리고 교무실과 행정실, 도서관과 시설 곳곳에서 묵묵히 학교를 지탱하는 손들이 있다”며 비정규직노동자들의 수고를 언급했다.

충북교육연대는 “학교 현장에선 오랜 세월 동안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벽 사이에서 차별과 저임금에 시달려 왔다”며 “똑같이 학교를 지켜왔지만, 방학 중 임금은 끊기고 명절휴가비와 복지수당에서도 차별받았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이제 그 부당함을 바로잡기 위해 20일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 노동자들이 파업을 결의했다”며 “이것은 학교를 멈추려는 투쟁이 아니라, 학교를 더 공정하게 세우기 위한 외침”이라고 평가했다.

충북교육연대는 “최저임금에도 못 미치는 기본급, 끊겨버린 방학 중 생계, 근속에 따른 차별과 불안정한 고용, 충북교육청의 전국 최저 수준 단체협약 등은 교육 현장의 부끄러운 현실이자 우리 사회가 함께 해결해야 할 과제”라며 “충북교육연대는 이들의 정당한 요구를 온 마음으로 지지한다”고 밝혔다.

충북교육연대는 “정부는 약속을 지켜야 한다”며 “이재명 대통령과 최교진 교육부 장관은 책임을 회피하지 말고 즉각 교섭에 나서야 한다. 충청북도교육청은 교육 현장의 사용자로서 교섭의 책무를 다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