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전교조 충청권 지부 비롯 서울권 70여 개 단체 기자회견
17일 청문회 앞두고 5개 교원단체, 국회 앞 기자회견 열어

전교조 충청권 4개 지부는 16일 교육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신뢰를 잃은 AI디지털교과서를 고집하지 말고 초중등교육법 개정안을 신속히 공포할 것”을 촉구했다.(전교조 충북지부 제공)
전교조 충청권 4개 지부는 16일 교육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신뢰를 잃은 AI디지털교과서를 고집하지 말고 초중등교육법 개정안을 신속히 공포할 것”을 촉구했다.(전교조 충북지부 제공)

 

21일 AI디지털교과서를 교육자료에 한정시킨다는 법안에 대해 정부가 거부권을 행사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교육계의 후폭풍이 거세다.

16일 전교조 대전·세종·충남·충북지부 등 전교조 충청권 4개 지부가 공동으로 기자회견을 연데 이어 이날 서울에서도 70여 개 단체가 공동기자회견을 열고 정부를 비판했다.

AI디지털교과서 청문회가 열리는 17일에도 5개 교원단체는 국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에 AI디지털교과서 교육자료 법안 공포를 촉구할 예정이다.

이들은 “현재 학교에서 필요한 것은 AI디지털교과서가 아니라 교사”라는 점을 강조하며, AI디지털교과서로 인해 천문학적인 예산을 낭비할 수 있고 교사의 자율권을 박탈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전교조 충청권 4개 지부는 16일 기자회견문을 통해, “정부가 이번 초중등교육법 개정안을 거부한다면, 이는 교육현장 전문가인 교사들의 교육적 판단을 무시하고, 국민들의 뜻을 정면에서 거스르는 행위로, 교육 내란과 다를 바 없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어 “정부는 졸속 추진, 예산 낭비로 이미 신뢰를 잃은 AI디지털교과서를 고집하지 말고 초중등교육법 개정안을 신속히 공포해야 한다”고 밝혔다.

전교조 서울지부, 서울교육단체협의회, 대학무상화평준화운동본부, 진보교육연구소는 16일 서울정부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AI디지털교과서 강행과 고교무상화교육 무산은 교육부의 역사적 퇴행이라고 비판했다.(전교조 제공)
전교조 서울지부, 서울교육단체협의회, 대학무상화평준화운동본부, 진보교육연구소는 16일 서울정부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AI디지털교과서 강행과 고교무상화교육 무산은 교육부의 역사적 퇴행이라고 비판했다.(전교조 제공)

 

전교조 서울지부와 서울교육단체협의회, 대학무상화평준화운동본부, 진보교육연구소에 소속되어 있는 70여 개 단체도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내란과 탄핵의 엄중한 시기에 정부의 거부권 시도는 AI사교육업체의 이익을 대변하면서 국가교육마저 혼란으로 내모는 것”이라며 “AI디지털교과서는 교육 현장을 망가뜨리고 교육재정을 파탄 낼 것”이라고 주장했다.

청문회가 열리는 17일에는 전교조, 실천교육교사모임, 좋은교사운동, 교사노동조합연맹, 새로운학교네트워크 등 5개 교원단체가 공동기자회견을 연다.

이들은 “학생의 학습 성향에 따라 학습경험을 조직하고 학생에게 학습 동기를 일으켜 다양한 프로젝트 활동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AI학습관리시스템을 기대했지만, AI디지털교과서는 교과서를 그대로 태블릿 PC에 옮겨놓은 것에 불과하다”며 “AI디지털교과서로 질문이 살아있는 교실을 만들어 갈 수 없다”고 주장했다.

한편 국회는 17일 청문회를 열고 AI디지털교과의 쟁점, 즉 교육적 효과, 검정과정의 위법성 등에 대해 다룰 예정이다.

또한 최상목 권한대행은 오는 21일 열리는 국무회의에서 AI디지털교과서 교육자료화 법안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할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