밈센터, 경계선지능인 현주소, 대응방안 토론회 개최
“교육 분야 뿐 아니라 복지 분야로도 지원 확대돼야”
경계선지능인은 학습·지적장애 특징 모두 가지고 있어
묶음기사
- 경계 없는 세상을 위해
- 예룸예술학교를 주목하는 이유
- ‘장애인 선진국’ 독일을 돌아보다
- 엄마들은 오늘도 외친다…“느린 게 죄인가요?”
- 보호받지 못하는 경계의 아이들
- 경계선지능인은 성폭력 문제에서도 취약하다
- 경계선지능 청년들에게 꽃길은 있는가?
- 지선이의 착한 마음은 왜 자꾸 없어질까?
- 이상정 도의원, “내년에 경계선지능인 지원 조례 제정 추진할 것”
- “내 아이에게 단 한명의 친구라도 생겼으면…”
- 직무교육, 현장실습, 인턴십까지…“경계선지능청년 실질적으로 돕는다”
- 충북 도민 요구 시작됐다…“경계선지능인 지원해 달라”
- 충북 장애인부모가 말했다…“경계선지능인 방치 더 이상은 안 된다”
- 충북에도 경계선지능 아동 부모 모임 생겼다
- 경계선 지원 조례 무색…충북 경계선 예산 ‘0’원
- 전국 느린학습자 부모 연대조직 생긴다

경계선지능인을 위해 교육 뿐 아니라 복지 분야의 지원도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또 현재 복지 분야에서 기초생활수급자와 별도로 차상위 계층을 지원하듯이, 장애인과 유사한 어려움을 겪는 경계선지능인을 위해 장애인과 구분되는 국가지원 시스템이 마련돼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이와 같은 의견은 서울시경계선지능인 평생교육지원센터(이하 밈센터)가 13일 개최한 ‘경계선지능인에 대한 한국사회의 현주소와 대응방안을 위한 토론회’에서 나왔다.
이번 토론회에서 주제발표자로 참석한 인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전지혜 교수는 “현재 교육 분야에만 국한되어 있는 경계선지능인 지원을 복지 분야로도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경계선지능인은 특정영역에서만 어려움이 있는 학습장애의 특징과 인지·신체발달 등에 어려움을 겪는 지적장애의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복지 분야의 지원도 필수적이라는 것. 현재 경계선지능인을 위한 지원은 주로 기초학습보장법 등 교육 분야에서만 이뤄지고 있다.
전 교수는 “학습장애인들은 교육 분야의 욕구가 높고, 지적장애인들은 복지욕구가 높다. 하지만 경계선지능인들은 교육과 복지 모두가 필요하다”며 복지 분야의 지원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전 교수는 “복지 분야에서 차상위라는 개념이 있듯이 현재 장애등급을 받지는 않았지만 장애인과 유사한 어려움을 겪는 IQ70~84인 사람들을 위한 별도(예를 들면 경증의 지적장애)의 정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IQ가 68인 사람과 72인 사람은 사실상 사회생활 적응에 있어서 별반 다르지 않다는 것.
전 교수는 특히 최근 여러 지자체에서 지원조례를 제정하고 있지만 국가 차원의 법률이 만들어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외에도 전 교수는 무엇보다 현황파악이 우선되어야 하고 당사자들의 목소리가 나와야 한다고 말했다.
토론자로 참석한 사단법인 느린학습자시민회 송연숙 이사장은 “장애와 비장애로 나누는 이분법적 사고, 빠른 성공, 성과주의 등 우리나라에 여전히 남아있는 인식은 느린학습자들을 계속 코너로 몰아가고 있다”며 “인식개선 활동과 단체의 활성화, 지역의제화 등을 기반한 제도개선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성태 송파구장애인직원재활지원센터장은 “어떻게 하면 경계선지능인의 자존감과 자의식을 긍정적으로 향상시켜 줄 수 있을까?를 고민해야 하고 그런 측면에서 환경적인 요인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토론회를 개최한 밈센터는 서울시경계선지능인 평생교육지원센터의 약칭으로 ‘밀어준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올 6월 ‘서울시 경계선지능인 평생교육지원 조례’를 근거로 경계선지능인의 평생교육을 지원하기 위해 설치됐으며 이날 토론회는 경계선지능인에 대한 관심과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마련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