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연대회의, 시민 100여명 모여 원탁토론회 열어
시청사 본관철거 등 3가지 문제 진단·대응방안 논의
이혜정 대표, “다음세대 위해 절박한 심정으로 마련”

묶음기사

청주시청사 본관 철거 등 현재 청주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문제에 대해 청주시민들은 그 원인이 청주시의 개발위주·환경파괴 정책, 불통행정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특히 시청사 본관 철거는 이범석 시장의 독단으로 진행된 사안으로, 소통이 매우 부족했다고 평가했다. 또 ‘우암산 둘레길 조성’ 사업에 대해서는 ‘환경파괴’라고 진단했고, ‘원도심 경관지구 해제’는 무분별한 개발을 초래하고 나아가 청주의 정체성과 역사성이 훼손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러한 의견은 22일 충북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이하 충북연대회의)가 개최한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원탁 토론회’에서 나왔다. 100여명의 시민이 모인 가운데 열린 이번 토론회에서는 △청주시청사 본관 철거 △원도심 경관지구 해제 시도 △우암산 둘레길 조성 등에 대해 논의했다. 토론회는 한 팀당 8~9명으로 구성, 총 9개 팀으로 나눠 진행됐으며 각 문제의 원인과 진단, 대응방안과 앞으로 실천방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

충북연대회의는 22일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원탁 토론회’를 열었다.
충북연대회의는 22일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원탁 토론회’를 열었다.

 

불통 속 시작된 시청사 본관 철거

청주시민들은 청주시청사 본관 철거에 대해 △시장의 불통행정 △예산낭비 △문화재 인식에 문제가 있다고 진단했다. 세부적으로는 그동안 시민들이 시 행정에 참여할 수 있는 구조가 없었고, 정보가 부족했으며, 청주시장을 비롯한 공무원들의 역사인식이 낮았기 때문이라고 봤다.

참가자들은 시민과 청주시의회, 시민단체가 합의하기 전까지는 시청사 본관동 철거를 유보해야 한다는데 의견을 모으고 이를 위해 이범석 시장과의 면담 추진 집행위 구성, 지속적인 홍보, 시민이 참여하는 공청회 개최를 대안으로 제시했다.

그러나 청주시는 이미 21일 신청사 건립부지 일대에 가림벽(방진벽) 설치 공사를 시작하는 등 시청사 본관동 철거를 시작했다.

앞서 이범석 청주시장은 청주시청 본관이 문화재적 가치가 없는데도 민선 7기 때 잘못된 존치 결정이 내려졌다며 안전등급 미흡, 유지관리비 과다, 일본식 건축양식 논란 등을 이유로 본관동 철거를 결정했다. 이는 청주시의회 파행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

 

 

청주시민들이 말했다…“불통, 환경파괴, 정체성 훼손”

우암산 둘레길 조성 사업과 관련해서 청주시민들은 ‘환경파괴’를 초래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또한 정확한 목적성이 보이지 않음에도 100억 원에 달하는 예산이 투입되는 것은 예산낭비행정이라고 비판했다.

참가자들은 이 또한 시민 의견 수렴이 부족한 사업으로 시민들의 참여와 연대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또 시의 독주를 막을 수 있도록 의회의 역할을 강화해야 하며, 우암산 생태조사와 걷기행사 등 홍보활동, 시장과 함께하는 공개토론회를 개최해야 한다고 의견을 모았다.

그러나 우암산 둘레길 조성 사업 또한 시청사 본관 철거와 마찬가지로, 이미 지난해 11월 이범석 시장이 사업을 승인, 올해 말 준공을 목표로 오는 4월 공사가 시작될 예정이다.

 

원도심 경관지구 해제 문제에 대해 청주시민들은 원도심을 발전시킨다고 하지만 무분별한 개발을 초래할 것이고, 이는 곧 청주의 정체성과 역사성을 파괴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에 따라 원도심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지원조례를 제정하는데 집중해야 하고, 원도심 주민들과 소통할 수 있는 대안 또한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궁극적으로는 도시계획 및 원도심 경관과 관련한 거버넌스 기구가 필요하다고 의견을 모았다.

이번 토론회는 충북지역 시민단체들이 주축 돼 현재 논란이 되고 있는 사안에 대해 지혜를 모아보자는 의미에서 마련됐다.

이혜정 충북연대회의 상임대표는 인사말을 통해 “사회 곳곳에 생명의 기운이 없으면 기막힌 사회가 된다. 우리는 오늘 살아가기 위해, 다음세대가 잘 살 수 있는 청주를 만들기 위해 절박한 몸짓으로 이 자리를 마련했다”며 “이번 토론회가 기막힌 사회를 뚫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