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당나라 초기 천재시인이었던 왕발(王勃)과 송나라 때 한 선비에 관한 이런 일화가 전해지고 있습니다.

어느 때 왕발이 호수 가에 배를 대고 하룻밤 잠을 청합니다. 그런데 꿈에 노인이 나타나 “9월9일 중양절 등왕각에 가면 연회가 있을 것이니 거기 가서 ‘등왕각서( 王閣序)’라 글을 지어 올리면 좋은 일이 있을 것”이라고 일러줍니다.

그러나 왕발은 그 날이 9월 7일 밤인데 그곳에서 등왕각이 있는 남창(南昌)까지는 7백 여리나 떨어져 있어 도저히 대 갈 수가 없어 사양을 합니다. 하지만 노인은 “염려 말고 가보라”고 재차 말을 합니다.
권에 못 이긴 왕발이 헛일 삼아 배를 몰아 나서니 때아닌 바람이 어찌나 잘 불어 주는지 순풍에 7백 리를 하루만에 달려 목적지에 당도합니다.

노인의 말대로 왕발은 연회에 나가 ‘落霞與孤鶩齊飛(낙하여고목제비) 秋水共長天一色(추수공장천일색)’이요, ‘지는 노을은 외로운 기러기와 함께 날아가고, 가을 강물은 아득한 하늘과 일색이로구나’ 라고 시를 지어 올리니 아니나 다를까 뭇 사람을 제치고 장원에 뽑힙니다.

이 글은 왕발의 이름을 천하에 알리면서 만인의 입에 회자되어 천추만대의 명구로 오늘에 이르도록 전해지고 있습니다. 왕발의 이 등왕각서는 제갈공명의 출사표, 소동파의 적벽부 등과 비견되는 천고의 명문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송나라에 가난한 한 서생(書生)이 있었습니다. 그는 대 명필인 구양순(歐陽詢)의 친필로 유명한 천복산의 비 탁본(拓本)을 떠다 주면 후한 상을 주겠다는 재상 범중엄(范仲淹)의 제의를 받고 천리 길을 마다 않고 먼길을 떠납니다.

서생은 탁본만 가져오면 당장 곤궁은 면하리라는 부푼 희망으로 천신만고 끝에 목적지에 도달합니다.

그러나 이게 웬일입니까. 하필 그 날밤 뇌성 벽력에 폭풍우가 쏟아지면서 벼락이 떨어져 천복비가 산산조각이 난 것이 아니겠습니까. 하늘도 무심하지, 가난을 면하려던 착한 서생의 한 가닥 희망은 물거품이 되고 만 것입니다.

사람이 때를 만나면 왕발이 순풍을 만나 하룻밤에 등왕각에 가서 서문을 지어 이름을 높이듯 일이 잘 되고 운수가 나쁘면 천복비에 벼락이 내려 비석이 깨뜨려져 천신만고가 수포로 돌아간다는 이 두 이야기는 명심보감 순명편(順命篇)에 나오는데 원문은 이렇습니다. 時來風送 藤王閣(시래송풍 등왕각) 運退雷轟 薦福碑(운퇴뢰굉 천복비).

우리는 모두 그날 그날의 세상살이에서 좋은 일, 궂은일을 겪으면서 살아갑니다. 그런데 어떤 이는 하는 일마다 술술 일이 잘 풀리고 어떤 이는 이상하게도 하는 일마다 꼬이는 경우를 흔히 봅니다.

과학적으로 입증된 것은 아니지만 사람들은 누구나 막연하게나마 운수(運數)라는 게 있다고 그렇게들 생각을 합니다. 그러면서 “운이 좋다”고, “운이 나쁘다”고들 일희일비합니다.

그러나 세상은 어느 한 사람에게만 좋은 운이 있는 것은 아니라고 봅니다. 좋은 일 뒤에는 항상 궂은 일이 따라오기 마련이고 궂은일 뒤에도 좋은 일이 따라오는 것이 세상 이치인 것입니다.

순풍에 하루 7백 리를 간 왕발도 끝내는 비명횡사하는 비운을 맞았고 착한 선비는 곤궁했을지언정 그로 하여 천수를 누릴 수 있었던 것입니다.

계속되는 불경기에 가진 것 없는 서민들의 삶이 고달프기만 합니다. 어느 자리를 가나 “살기가 힘들다”고 이구동성 탄식을 합니다. 하루하루 쫓기는 생활에 희망의 싹은 보이지 않으니 너나 없이 삶의 고통을 호소하는 것입니다.
정치, 경제, 사회, 어느 한 군데도 어지럽지 않은 곳이 없으니 바야흐로 세상은 난세가 분명합니다.

하나, 사는 일이 어렵지만 어려움 뒤에는 좋은 일이 따라 온다는 고진감래의 소박한 믿음으로 오늘의 고통을 이겨 나가야 하겠습니다. 그것이 바로 삶의 지혜가 아닐까 생각을 해 봅니다. ‘호국보훈의 달’ 6월입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