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시 지북·영운 정수장 통합 현대화 사업 뒷말 무성
상수도 공급구역도 전체 1/3 불과, 경제성 의문 제기

청주시가 오는 2013년까지 1200억원을 들여 추진하는 통합정수장 현대화 사업에 대해 경제적 효율성 논란이 일고 있다.
기존 지북·영운 정수장의 노후화 개선과 양질의 수돗물 공급이라는 취지에도 불구하고 통합정수장이 완공된다 하더라도 처리능력과 공급구역 확대가 이뤄지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대청호 취수시설에 대한 기득권도 2030년 끝나게 돼 투자한 만큼의 효과가 나타날지 미지수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 청주시가 1200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건설을 추진하는 통합정수장이 정수처리능력이나 공급구역 확대 없이 막대한 예산을 투입한다는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사진은 통합정수장의 진입로 공사 현장.
수자원공사·청주시가 나눠 수돗물 공급

청주시민들이 사용하는 수돗물 중 청주시가 정수해 공급하는 비율은 전체의 3분의 1에 불과하다. 청주시가 수돗물을 직접 공급하는 곳은 상당구 전체의 3분의 2가량과 일부 흥덕구 지역이며 나머지는 수자원공사가 광역정수장을 통해 생산한 수돗물을 공급한다.

2008년 청주시 전체에 공급된 수돗물은 8862만6959톤으로 이중 청주시가 운영하는 지북·영운 두 정수장에서 3256만2406톤이 생산됐고 나머지 5606만4553톤은 수자원공사 광역정수장에서 공급했다.
청원군 지역은 자체 정수장을 가동하지 않고 모두 수자원공사로부터 직접 수돗물을 공급받고 있다.

이렇게 청주시에 공급되는 수돗물이 이원화 된 것은 1980년 대청댐의 준공으로 수자원공사가 광역정수장을 통해 수돗물을 생산하면서부터다.
수자원공사가 관리하는 대청댐의 용수는 청주와 청원을 포함한 충북 중남부, 천안, 공주, 대전 일부 등 충남지역 상수도원으로 사용된다.

수공은 댐 용수 뿐 아니라 광역정수장을 통해 직접 수돗물을 생산, 공급하고 있으며 이는 상수도를 광역화 하겠다는 정부의 정책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환경부 관계자는 “현재 전국 163개의 정수장을 통해 공급되는 상수도를 30개 광역권으로 정비를 추진하고 있다. 수돗물은 국민생활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는 만큼 이를 국가적인 차원으로 받아들여 안정적이고 양질의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해 광역화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청주 통합정수장 10년만에 본격 추진

정부와 지자체의 상수도 관련 정책은 10년 마다 수립되는 수도정비기본계획을 통해 확정, 추진된다.

청주시 통합정수장 건설은 2000년 기존 지북·영운정수장의 노후화에 따라 필요성이 제기됐고 타당성검토를 거쳐 2005년 ‘청주시 수도정비 기본계획’에 반영, 환경부의 승인을 받았다.
그 뒤 현 지북정수장 인근 21만4074㎡에 부지를 확정하고 중앙투융자 심사와 도시계획시설결정을 받아 현재 토지보상과 진입로 개설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통합정수장은 오는 2013년까지 1200억원을 들여 하루 12만5000톤을 정수처리 할 수 있는 시설로 건설된다. 또 통합정수장 내에는 정수시설 뿐 아니라 물홍보관도 마련돼 물의 흐름 및 중요성 홍보 등 물 체험 공간을 제공한다.

논란은 과연 이 같은 시설을 1200억원씩이나 들여 투자할 필요가 있느냐 하는 것.
익명의 상수도 관련 전문가 A씨는 “통합정수장을 건설한다 하더라도 공급 구역이나 정수처리 능력이 확대되는 게 아니다. 여전히 청주시 전체의 3분의 2 가량은 수자원공사에서 직접 수돗물을 공급하는 체계에는 변함이 없다. 통합정수장을 새로 짓는 것 보다 기존 지북·영운정수장을 보수하고 남는 예산을 관로 보수나 관로 전산화 등에 투자하는 게 더 효율적이고 경제적일 수 있다. 이에 대한 검토가 선행됐는지 의문”이라고 주장했다.

A씨는 또 “청주시는 정수장에 대규모 투자를 결정하기 전에 최소한 하루 12만5000톤으로 제한된 정수량을 늘려 공급구역 확대를 먼저 추진했어야 한다고 본다. 수자원공사와 청주시로 이원화 된 수돗물 공급 체계는 중복투자와 비효율 시비 가능성을 차단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정수량 제한으로 수돗물도 할당?

정수장에서 생산하는 수돗물의 양은 어떻게 정해질까. 정수장을 건설하는 지자체나 수자원공사가 수요를 예측해 결정할까. 정답은 ‘아니다’다.

물론 정수장을 건설하면서 이같은 시장조사를 실시하지만 정수처리능력은 임의대로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정부(환경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이에 따라 청주 지북정수장은 하루 9만4600톤, 영운정수장은 3만400톤 등 12만5000톤으로 정수량이 제한된다. 반면 수자원공사가 운영하는 청주시 성화동의 광역정수장의 처리능력은 59만6000톤이다.

청주시가 운영하는 지북·영운정수장은 2008년 처리능력의 71%에 해당하는 하루 평균 8만9200톤을 공급했다.
그렇다면 청주시가 통합정수장을 건설하면서 처리능력을 올려 공급구역을 확대할 수는 없을까. 이에 대한 답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상수도 광역화’를 수돗물 정책의 기본 방향을 정하고 있는 정부가 개별 지자체의 정수량 확대를 사실상 금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청주시가 추진하는 통합정수장도 정수량을 단 1톤도 늘리지 못한 채 12만5000톤으로 유지할 수밖에 없는 셈이다.

A씨는 “정부의 방침은 광역상수도(수자원공사)를 이용하라는 것이다. 사실상 수돗물 공급과 관리를 수자원공사로 일원화 하겠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청주시가 시설투자를 통해 자체 수돗물 공급 구역과 양을 늘리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통합정수장에 1200억원이 투자되지만 처리능력은 기존 지북과 영운정수장을 합친 것과 동일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