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성 극동정보대 비리의혹 사건이 교육부의 종합감사와 경찰 수사로 확대되고 있다. 대학측은 학생들의 수업거부, 점거농성이 확산되자 임시휴교 조치라는 초강수를 동원했다. 재단비리에 맞선 교수협의회와 직원노조는 휴교철회를 요구하며 학생들에게 정상등교를 권유하고 있다. 하지만 대학측이 70여대에 달하는 수도권 통학버스를 중단시킨 상황에서 학생등교는 여의치 않은 실정이다. 사면초가에 빠진 학교법인이 학생의 학습권을 팽개치고 아예 문을 닫아건 셈이다.
극동정보대 비리의혹에 대해 충청리뷰가 제보를 받은 것은 지난 8월말이었다. 직원노조는 주요 회계자료 사본을 확보해 둔채 공개여부에 대해 고민을 거듭하는 상황이었다. 비리자료의 내용은 메가톤급으로 10여년 업력(?)을 가진 기자의 간담을 긴장시키기에 충분했다. 족벌사학의 무원칙한 회계처리, 비리 은폐구조 등이 가히 엽기적 수준이었다. 하지만 노사분규 과정에서 노조 이름으로 고발장을 내는 것에 대해 신중한 입장이었다. 어쩌면 비리고발이 자칫 재단붕괴로 이어져 직원들의 일터 자체를 잃게되지 않을까하는 우려감도 깔렸을 것이다.
마침내 직원노조는 9월 16일 공식 기자회견을 열고 청주지검에 극동학원을 상대로한 고발장을 접수시켰다. 하지만 청주 민주노총 기자회견장에 나타난 기자는 4∼5명에 불과했고 근거자료까지 공개했음에도 지역신문 기사는 겉핥기 수준이었다. 방송보도도 서울 MBC가 19일자 저녁 9시 메인뉴스에 다루면서 거꾸로 보도비중이 상향조정된 실정이었다. 더구나 사건수사는 청주지검의 손을 떠나 충북도경찰청으로 이첩됐다. 사안의 중대성에 비추어 검찰이 직접수사에 나서지 않은 것은 이례적이라 할 수있다. 나름대로 속사정을 짚어볼 순 있겠지만, 일단 사학비리라는 판도라의 상자를 경찰로 떠넘긴 셈이다. 이제 경찰이 최선의 수사성과를 거둬 수사권 독립의 명분을 축적하기를 기대할 뿐이다.
취재과정에서 가장 큰 의문은 지난 8년간 엄청난 사학비리 의혹이 고스란히 잠자고 있었다는 것이다. 우선 내부적으로 100여명에 달하는 교수, 직원들이 대학비리에 입다물고 있었다는 것이 납득하기 힘들었다. 외부적으론 감독기관인 교육인적자원부가 그동안 어떤 역할을 했는가 의아했다. 결론적으로 내부직원들은 ‘알았지만 발설할 수 없었던 것’이 족벌사학의 구조적 한계였다. 그동안 40여명의 행정직원을 쓰면서 공개채용은 한 건도 없었다는 얘기고(작년 인턴사원 3명 예외) 교수채용도 전임 부학장 인맥을 통해 청주 C대 출신들이 대거 채용된 것으로 알려졌다. 대추나무 연걸리듯 한 연고인맥 때문에 안에서 발설하기조차 힘들었고, 총대를 매기는 더 더욱 무거웠다.
노조에 따르면 교육부는 지난 8년간 일상적인 지도감사를 2번 실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지난 96년에는 교수 임금지급의 부당성이 드러났지만 유야무야 덮어둔채 끝냈다는 것이다. 당시 교육부 감사직원이 관련 회계자료를 요청했지만 담당직원들이 한꺼번에 자리를 뜨는 수법으로 모면했다는 것이다. 사실상 자료제출을 거부한 명백한 불법행위에 대해 왜 교육부 관리는 사후조치를 취하지 않고 감사종결을 했을까. 결국 교육부의 사학재단 감사가 솜방망이에 그쳤다는 것이다. 왜 솜방망이가 됐는지 이제 수사기관에 가릴 일이다. 현재 극동정보대에 파견된 교육부 종합감사팀은 도저히 가려내지 못할 부분이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