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교육포럼, 624명 대상 ‘윤건영 교육감 3년 평가’ 설문 결과 발표
"윤 교육감에게 지금 필요한 건 정책에 대한 신뢰 회복하는 일"

 

충북교육포럼 제공.
충북교육포럼 제공.

 

충북교육포럼 제공.
충북교육포럼 제공.

 

충북의 교육관계자 10명 중 7~8명이 지난 3년 동안 윤건영 교육감이 진행한 공약 및 정책에 대해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충북의 8개 교육·시민단체 연대체인 충북교육포럼이 지난달 9일부터 20일까지 교사, 일반행정직, 교육공무직, 교장·교감·전문직, 유·초·중·고 학부모. 충북도민 624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윤건영 충북교육감 3년 평가’ 설문 결과를 10일 공개했다.

설문 결과에 따르면, 윤 교육감의 ‘충북교육 운영 및 직무수행’에 대해 55.9%(349명)가 ‘매우 불만족’이라고 답했다. 또 ‘불만족’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19.1%(119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의 75%가 부정적인 답변을 한 것이다.

5점 척도로 진행된 이번 설문조사에 윤 교육감의 평균 점수는 1.95점이다.

핵심 공약인 ‘다채움’ 및 ‘에듀테크 기반 개별 맞춤형 교육지원’에 대해서는 71.2%가 ‘매우 불만족’, 또는 ‘불만족’이라고 답했고, ‘노벨 영재교육 및 글로벌리더 양성 프로그램’, ‘수요자 중심 아침 간편식 제공’에 대해서는 각각 63.3%, 69.6%가 부정적으로 답했다.

충북교육연대는 “설문 결과 ‘매우 불만족’이 가장 높은 비율을 기록했으며 부정적인 평가가 50%를 넘기고 있다”며 “이는 윤건영 충북교육감의 핵심 공약을 이행하기 위한 정책기획과 집행이 현장과 동떨어져 있음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AI 디지털교과서’, ‘늘봄학교’, ‘고교학점제’ 등 윤석열 정부 정책에 대한 충북교육청 대응에 대해서는 61.5%가 ‘매우 불만족’이라고 답했고, ‘만족한다’고 답한 응답자는 13.6%에 불과했다.

이에 대해 충북교육포럼은 “윤석열 정부 정책을 적극적으로 수용했지만, 충북교육청 차원에서 정책집행과 실행 전략이 부족해 학교 현장의 부담만 가중되었다”고 평가했다.

또 ‘교육청 문화 개선’, ‘개별 학교 자치 활성화’에 대해 ‘매우 불만족’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각각 54.5%, 47.3%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관련 충북교육포럼은 “정책 수립과 결정 과정에서 현장의 경험과 전문성은 무시하고, 중앙정부의 교육 정책을 충북교육청이 일방적으로 지시하는 현장 배제형 정책 결정구조와 실행력 부족, 일방적 행정 운영에 대한 응답자들의 누적된 반감과 피로가 폭발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충북교육포럼 제공.
충북교육포럼 제공.

 

‘다양한 학생들의 맞춤형 교육’, ‘진학지도에서의 성과’, ‘지역의 요구나 특색이 반영된 교육 정책’에 대한 설문 또한 각각 62.7%, 52.2%, 62.8%가 ‘매우 불만족’ 또는 ‘불만족’이라고 답했다.

충북교육포럼은 “‘실력다짐’이라는 구호를 내세우며 다채움을 활용한 학업성취도 평가를 진행하고 충북교육청의 실적과 성과 중심의 목표에 대해 현장에서는 압박을 느끼며 지역 간 형평성과 학생 개별성을 고려하지 않는 것에 대해 문제의식을 느끼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현장성, 지역성, 관계성을 중심으로 지속가능하고 신뢰를 바탕으로 한 장기적인 정책 비전과 거버넌스 구축이 부족하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윤건영 교육감에게 지금 필요한 것은 더 많은 정책이 아니라, 정책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는 일”이라며 “성과를 자화자찬하기에 앞서, 지금까지의 정책 수립과 실천 과정에서 벌어진 오류와 왜곡에 대해 진지하게 성찰하고, 그에 대한 책임 있는 응답과 변화된 실천으로 답해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