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모 공간 설립, 추모현판 부착, 심리 치료 지원 등 요구
충북도, “전향적으로 검토하겠다고 했지 결정된 것은 없어”
현판 유권 해석 국토부에 의뢰…국토부, “접수된 공문 없어”
747버스 광고 게재건, 교통연수원 측 “아는 바 없다”

묶음기사

 

국가기관과 지방자치단체의 잘못으로 가족을 잃은 오송참사 유가족들이 지난 2년여간 지자체에 꾸준히 요구사항을 전달했으나, 받아들여진 요구는 사실상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 유가족들은 김영환 충북도지사 면담을 통해 요구사항을 전달했으나, 이 또한 제대로 이행되지 않고 있다.

면담 자리에서 유가족들은 김 지사에게 △충북도청 내 추모 공간 설치 △오송 궁평 제2지하차도에 추모현판 설치 △생존자·유가족 심리치료 지원 등을 요구했다. 또한 747버스에 추모주간을 알리는 광고 게재 등 네 가지 사항을 요구했다.

그러나 이중 성사될 가능성이 있는 요구사항은 현재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충북도청 내 추모 공간 설치

우선 추모 공간이다. 오송참사 유가족협의회·생존자협의회·시민대책위에 따르면 유가족들은 김 지사에게 도청 내에 있는 공간 3곳을 제시하고, 이 중 한 곳을 선정해 추모공간을 마련해줄 것을 요구했다.

이에 도는 “도청 광장에 추모비 설치에 대해 전향적으로 검토할 뜻을 전달하였고 오송 참사 2주기 추모 행사의 원만한 진행과 범도민 추모 분위기 조성을 위한 추모기간 운영 등 유가족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현재 도는 진행한다고만 밝힐 뿐 구체적인 협의 내용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충북도 관계자 A씨는 “전향적으로 검토를 하신다는 거지 어떤 위치에 할건지는 정해놓은 것은 아니다. 관련 부서(회계과)와 제한 사항이 있는지, 위치적으로 괜찮은지 유가족들과 협의를 해야 하는 상황이다. 그 다음에 의사결정 하실 분께 보고하고 결정이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추모공간을 언제 완성할지)기한을 정해놓은 것은 아니다”라며 “아직 어떻게 하겠다 말씀드릴 단계는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궁평 제2지하차도에 추모 현판 부착

두 번째는 오송 궁평 제2지하차도에 추모현판 부착이다. 지난 3일 충북도는 유가족들과 함께 궁평 2지하차도에 ‘오송참사 희생자 기억의 길’이라는 글자가 쓰여 있는 추모현판을 부착하기로 했었다.

그러나 충북도는 돌연 그 약속을 취소했다. 그 과정에서 유가족에게 납득할 만한 설명을 제시하지 않아 공분을 샀다. 이날 유가족·생존자·대책위는 성명을 내고, “충북도는 유가족과 생존자에게 또다시 치유할 수 없는 상흔을 안겼고, 희생자와 유가족을 우롱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그러자 충북도는 설명자료를 통해, ‘도로법 등 관계 법령상 설치 가능한지에 대한 중앙부처의 유권 해석을 거쳐 빠른 시일 내에 결정할 예정’이라고 짧게 답했다.

 

 

그러나 충북도 담당 부서는 도로법의 어느 법령에 대해 유권해석을 한다는 것인지, 국토부 어느 부서에 검토 요청을 보낸 것인지에 대해서는 공개하지 않았다.

도로관리사업의 B씨는 국토부에 의견을 전달했다고만 밝힐 뿐 구체적으로 어떤 법률인지 국토부 해당부서에 대해서는 알려줄 수 없다고 밝혔다. 기자가 국토부에 문의한 결과 4일 오전 현재 궁평2지하차도, 오송 참사와 관련해 접수된 공문은 없었다.

이에 대해 B씨는 “분명히 국토부에 공문으로 보냈고, 결과는 짧으면 일주일 이주일 후에는 답변을 해주겠다고 말했다”고 강조했다.

 

747버스에 광고 게재…“아는 바 없어”

심리 치료에 대해서도 유가족 및 생존자들은 지속적으로 심리치료 지원을 요청했지만, 현재 대책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외에도 유가족·생존자·대책위가 자체적으로 돈을 모아 747버스에 추모주간을 알리는 광고를 게재하고 싶다는 요구 또한 현재 진행이 안되고 있다.

이 사안은 충북도 교통연수원이 담당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정작 교통연수원의 C씨는 “전혀 아는 바가 없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