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간브리핑 진행한 경찰엔 “존중”… 불참한 노동부엔 “기가 찬다”
묶음기사
- 경찰 아리셀 수사브리핑 논란…일부사안 유가족엔 비공개, 기자에겐 공개
- 충북 시민단체, 화성 아리셀 화재참사 합동 분향
- 청주 국회의원 4인, 아리셀‧오송참사 참사현장 동분서주
- 영정막고 추모제 고발한다는 화성시, 윤석열 정부를 닮아가렵니까?
- 충북서 화성 아리셀 참사 안전대책 촉구 목소리
- "남 일 아냐" 청주서도 화성 아리셀 참사 추모 분향소 마련
- 원형감옥에 갇힌 유가족은 하루 하루가 지날수록 죄인이 되어갑니다
- 2년 전 아찔했던 보은군 공장 폭발사고, 화성참사 남의 일 아냐?
- 송재봉 의원, 아리셀 공장화재 중대재해처벌법으로 처벌해야
- 대국민사과‧김앤장선임 아리셀, 정작 유족에겐 전화한통 없었다
- 충북시민단체 “화재참사에 분노, 중대재해처벌법 적용해야”
- 참사를 취재하던 기자가 유가족이 되었습니다
- 화성시청 “유가족 지원 연장하려면 회사비용부담 합의서 받아와라” 발언 논란
- 가족협의회와 대책위, 박순관 대표 등 아리셀 관계자 고발
- 아리셀 대책위 ‘근로감독 부실’ 고용노동부도 조사해야

지난 달 24일 발생한 ㈜아리셀 화재참사로 희생된 유가족과 대책위원회가 경찰과 고용노동부를 향해 수사에 속도를 내달라고 호소했다.
8일 아리셀화재로 목숨을 잃거나 부상을 당한 희생자 가족으로 구성된 ‘산재피해가족협의회’와 지역 노동인권단체로 구성된 ‘아리셀중대재해참사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는 성명을 발표하고 이같이 요청했다.
대책위가 발효한 성명은 이날 오전 경찰이 유가족을 상대로 ‘수사 상황 중간 브리핑’을 진행한 뒤에 나왔다.
대책위는 먼저 경찰 브리핑에 대해 아쉬움을 토로했다.
이들은 먼저 “유가족을 비롯한 참가자들은 참사가 빚어진 지 보름 만에 국가의 공식적인 브리핑에 큰 기대를 걸고 참석했으나 ‘소문난 잔치에 먹을 것 없다’라는 속담을 증명하듯 오늘 경찰의 브리핑은 유가족들의 기대와 바람에는 턱 없이 부족했다”고 촌평했다.
그러면서 “참사가 빚어진 이후 언론을 통해 공개된 것들 외에 새롭게 알게 된 것은 없다”고 밝혔다.
대책위는 “‘수사 중인 사안이기에 공개하기 어렵다’, ‘회사가 대형 로펌을 선임해 대응을 준비하는 관계로 이 자리에서 공개할 수 있는 것은 별로 없다’는 등 중대재해 참사가 빚어질 때마다 소위 관계 당국에 의해 나오는 너무 익숙한 답변밖에 듣지 못했다”고 아쉬움을 표시했다.
그러면서도 경찰이 유가족을 상대로 수사브리핑을 해준 것에 대해선 고마움을 표시했다.
대책위는 “협의회와 대책위는 오늘 브리핑에 많은 아쉬움을 가지고 있지만 그나마 경영책임자인 에스코넥·아리셀 대표이사가 이전의 중대재해 사건과 다르게 빠르게 입건이 되고, 경찰이 이러저러한 내용과 형식의 아쉬움은 있지만 피해자 가족 앞에서 공식적인 브리핑을 진행한 것에 대해 존중한다”고 밝혔다.
경찰이 중간브리핑을 진행한데 반해, 노동부는 당초 참가하기로 했지만 유가족 외에 대책위가 참석했다는 이유로 참석하지 않았다.
이에 대해 대책위는 “고용노동부는 ‘우리 브리핑의 대상이 아닌 사람들이 참여하는 관계로 오늘 브리핑을 연기한다’라며 ‘대책위’를 겨냥‘하며 브리핑에 불참했다”며 “기가 찬다”고 밝혔다.
이들은 “대책위와 대책위 법률지원단이 피해자 유가족들에게 권한을 위임받고 진실규명을 위한 활동을 시작한 지 꽤 오래”라며 “피해자들이 가지는 권리와 그중 하나인 조력을 받을 권리를 정부 부처가 그것도 핵심 부처가 부정하고 나선 것”이라고 지적했다.
대책위는 “경찰을 위시한 고용노동부 등 범정부 합동수사본부는 현재 진행 중인 수사와 조사의 속도를 높여야 한다. 또한 피해자 가족에게 구체적으로 상황과 진척의 결과 등을 숨김없이 보고하고 피해자 가족 당사자의 의견과 입장을 충분히 반영해야 한다”고 요청했다.
한편 8일 오전 화성시청에서 진행된 경찰 수사 브리핑에서 유가족들은 “유가족들이 이러저러한 처지와 환경으로 한국에 오래 있을 수 있는 상황도 있으니 수사 속도를 높여 달라”고 요청했다.
또 “‘안전교육 등 안전조치 위반과 관련한 사용자 의무 위반에 대해 철저하게 수사하고 꼭 처벌받게 해 달라’, ‘리튬배터리 제조 공정이 위험한 공정인데 이에 관련한 회사, 관련 기관, 한국 정부가 역할을 다했는지 수사하라’”고 요청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