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보 기자에도 위로 “참사 피해자 아픔 기록했던 우리지역 기자와 슬픔 함께해”
묶음기사
- 참사를 취재하던 기자가 유가족이 되었습니다
- 대국민사과‧김앤장선임 아리셀, 정작 유족에겐 전화한통 없었다
- 송재봉 의원, 아리셀 공장화재 중대재해처벌법으로 처벌해야
- 충북 10년간 화학물질 사고 총 51건, 폭발사고는 4건 발생
- 시민단체, 청주시민 희생된 ‘아리셀 참사’ 추모 분향소 설치한다
- 원형감옥에 갇힌 유가족은 하루 하루가 지날수록 죄인이 되어갑니다
- 영정막고 추모제 고발한다는 화성시, 윤석열 정부를 닮아가렵니까?
- 경찰 아리셀 수사브리핑 논란…일부사안 유가족엔 비공개, 기자에겐 공개
- 아리셀화재참사 유가족 “경찰‧노동부 수사 속도 내달라”
- 가족협의회와 대책위, 박순관 대표 등 아리셀 관계자 고발
- 민변 “23명 사망, 아리셀 사측 노무사가 불법합의 종용”

충북지역 시민사회단체가 23명의 사망자를 낸 아리셀공장 화재참사의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요구했다.
27일 충북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이하 연대회의)는 성명을 통해 “반복되는 참사에 분노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작년 7월 24명의 사상자를 낸 오송지하차도참사 1주기를 준비하던 중 발생한 사고에 우리는 더욱 분노하지 않을 수 없다”며 “세월호, 이태원, 오송참사에 이어 아리셀 공장 참사까지 참사는 1년마다 반복되고 있고, 우리가 모르는 크고 작은 사고로 수많은 생명들이 죽어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속수무책이고 기업은 방관하고 있다”며 “우리는 얼마나 많은 우리의 이웃, 우리의 가족을 잃어야 안전한 사회에서 살 수 있을까요?”라고 반문했다.
연대회의는 “우리는 화성 아리셀 공장 화재 참사의 철저한 원인 규명으로 안전한 사회로 나아가길 촉구한다”며 “이번 참사의 근본적인 원인을 규명하고, 최고 책임자는 중대재해처벌법으로 처벌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유가족에 대한 세심한 지원도 당부했다. 이들은 “화재 참사 피해자의 권리를 존중하길 바란다”며 “하루 아침에 사랑하는 가족을 잃고 망연자실해 있는 유가족과 피해자 지원에도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밝혔다.
도 “진상규명을 위한 모든 과정에 유가족과 피해자들의 참여를 보장하며 조사과정과 결과도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연대회의는 “참사의 현장을 취재하며 피해자의 편에서 아픔을 기록했던 우리 지역의 기자가 이번 화재 참사의 유가족이 되신 것에 대해 슬픔을 함께 하겠다”며 이번 참사에서 가족을 잃은 본보 기자에 대해 위로를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