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지역 교사 3000여명 교육부 앞 도로서 집회
현장 교사들의 목소리 반영된 교권대책 촉구
이주호 장관 사퇴, 진상 규명, 공교육 정상화 주장

고 서이초 교사 49재를 맞아 충북, 충남, 대전, 세종 등 충청권 교사들이 4일 오후 교육부 앞에서 집회를 열었다.
고 서이초 교사 49재를 맞아 충북, 충남, 대전, 세종 등 충청권 교사들이 4일 오후 교육부 앞에서 집회를 열었다.

 

고 서이초 교사 49재를 맞아 충북, 충남, 대전, 세종 등 충청권 교사들이 4일 오후 교육부 앞 도로를 가득 메웠다. 오후 4시 전부터 삼삼오오 모여든 교사들은 주최측 추산 3000여명에 이른다. 곳곳에 어린 자녀를 동반한 교사들도 다수 있었다.

이번 집회에서 참가자들은 ‘9·4 공교육 멈춤의 날’을 금지한 교육부와 교육청을 규탄하며, ‘파면해임 협박 말고 지금당장 교사보호’라는 구호를 외쳤다.

또한 교육부의 ‘교권회복 및 보호강화 종합방안’은 이름만 거창할 뿐, 교사들에게 다시 책임을 전가하고 있다며 현장 교사들의 목소리가 반영된 대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교사 A씨는 “교육부는 교권 보호를 위해 현장적용 정책을 결정할 수 있는 특별위원회를 즉각 설치하고 교사TF팀을 포함한 대표성 있는 교사와 현장전문가에게 전권을 부여하라”고 촉구했다.

 

 

자신을 충북교사라고 밝힌 한 교사 B씨는 현장발언을 통해 “윤건영 교육감에게 교권대책 수립, 공교육 멈춤 동참 교사 보호를 요구하는 서명 운동을 해서 1200여 명의 서명을 받아 전달했다. 하지만 오늘까지도 답이 없다”며 답답함을 호소했다.

B씨는 “교육부는 집회에 나온 사람들을 어떻게 징계할까 생각하고 있나. 선생님들은 이번 집회 참여로 겪는 불이익보다 아동학대 신고로 받는 어려움이 더 무섭다고 한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청주교대 전희동 총학생회장이 발언을 하고 있다.
청주교대 전희동 총학생회장이 발언을 하고 있다.

 

이날 집회에는 청주교대 전희동 총학생회장도 참가, 예비교원으로서 심경을 밝혔다. 전 회장은 “예비교원들은 현재 우리가 생각하는 교육을 할 수 있을까하는 걱정을 하고 있다. 우리의 주장은 교사, 학생, 학부모를 갈라놓기 위한 것이 아니라 교육주체들이 단합할 수 있도록, 좋은 교육을 할 수 있게 만들어 달라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자신을 학교폭력심의위원회 위원이라고 밝힌 학부모 C씨는 “선생님은 단순히 학폭위 사실 여부에 대한 진상조사뿐 아니라 양측 부모님의 심리상담사 역할까지 감당하셔야 되는 것 같았다”며 “과중한 업무와 책임을 홀로 감당하는 선생님들의 다친 마음은 누가 들어주고 위로해 주는지 의문”이라고 전했다.

이외에도 이날 집회에서는 정신과 의사인 ‘성장학교 별’ 김현수 교장의 편지 낭독과 최진욱 괴산북중 교감의 ‘딸에게’라는 시낭독이 있었다.

집회 참가자들은 성명서를 통해 “고 서이초 선생님의 죽음은 결코 한 개인의 극단적 선택이 아닌 구조적 문제로 인한 비극이었다”며 △이주호 교육부 장관 사죄 및 사퇴 △진상 규명, 책임자 징계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대책 마련 등을 촉구했다.

 

교육부 앞에 근조화환이 놓여져 있다. 
교육부 앞에 근조화환이 놓여져 있다. 

 

 

‘공교육 멈춤의 날’ 지지 이어져

‘9·4공교육 멈춤의 날’과 관련, 충북에서는 교육부 및 충북교육청을 비판하는 목소리가 이어졌다.

전교조 충북지부는 “교권회복 및 보호강화 방안을 담은 문서에 어이없게도 교사들의 휴가권을 제한하면서 교육부의 말을 듣지 않을 경우에는 엄정 대응하겠다는 문구로 학교 현장을 윽박지르고 협박했다”고 비판했다.

또 충북교육청은 교육부 지침을 학교 현장에 그대로 시행, 교사들을 더욱 위축시켰다고 지적했다.

전교조 충북지부는 △교육부 징계협박 중단 △교사의 교육활동보호 및 노동조건 개선 △교육부·교육청의 성찰과 책임 촉구 △교사의 정당한 권리 및 학교자치 보장 △교사의 노동정치기본권 보장 △교사정원 확보 △열악한 교육환경 개선 등을 요구했다.

민주노총 충북지역본부는 공교육 정상화와 교육노동자의 노동권 보장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들은 “서이초 교사의 비극은 경쟁교육. 입시교육으로 무너진 공교육 현장이 빚은 비극”이라고 평가하고, “경쟁이 아닌 연대를, 공교육 붕괴의 근본원인인 대학서열화를 평준화로 바꿔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이 과정에서 교육노동자의 노동기본권이 보장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공교육 멈춤의 날’ 참여를 사실상 금지한 충북교육청은 이날 저녁, △충북초·중등교장·교감협의회 △충북교총 △충북학교학부모연합회 △충북학교운영위원회위원장협의회 △삼락회 등이 참여한 가운데 ‘공교육 멈춤의 날’이 아닌, ‘교육공동체 추모와 회복의 날’ 행사를 별도로 개최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