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지사, "尹에 위로와 자비를" 발언 논란
시민단체 "지자체장 역할 망각, 자숙해야"

 

지난 28일 구인사 법회에 참석한 김영환 지사가 축사 도중 윤 대통령의
지난 28일 구인사 법회에 참석한 김영환 지사가 축사 도중 윤 대통령의 안녕을 비는 발언을 해 논란이다. (사진=김영환 지사SNS 갈무리)

 

김 지사가 "윤 대통령에게 위로와 자비의 기도를" 구한 발언이 공분을 사고 있다.

지역 시민단체는 "도민의 안전을 내팽겨치고 이젠 내란 수괴의 안녕을 걱정하느냐"며 "단체장의 자격이 없다"고 강도높게 비판했다.

논란이 된 발언은 12월 28일 김영환 지사가 충북 단양의 구인사 법회에서 말한 이야기다.  

김 지사는 축사를 하던 중 불자들에게 "구인사를 사랑했던 윤석열 대통령께서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여러분께서 위로와 자비의 기도를 보내주실 것을 부탁한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윤석열 탄핵안 국회 가결 이후 유감을 표했으며, 강제 징용 피해자 배상 판결 논란 당시 "나는 기꺼이 친일파가 되련다"라며 윤 대통령을 옹호하는 발언들로 논란이 된 바 있다. 

30일 충북비상시국회의는 논평을 통해 “도민의 안전은 내팽개치더니 이젠 내란수괴 윤석열의 안녕을 걱정한다”며 “도민의 민생을 책임지고 민주주의를 지켜야 할 자리에 있는 자가 내란 수괴를 옹호하며 도민들에게 자비를 운운한단 말인가”라고 분노했다.

이어 “내란 실패 후 드러나고 있는 검경의 조사결과는 충격적”이라며 “군인 5000명을 동원해 국회를 짓밟고, ‘총을 쏴서라도 끌어내라’고 명령하고, 북풍공작으로 온 나라를 전쟁의 위험으로 내몰려 했다는 증언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고 밝혔다.

충북비상시국회의는 “내란수괴 윤석열과 그 일당이 벌인 행위는 공포정치였고 국민의 삶을 파괴하는 극악무도한 악행이었다”며 “김영환 충북지사는 도민들의 분노게이지를 높이지 말아야 한다. 도민들은 지금도 충분히 분노스럽고 고통스럽다”고 지적했다.

또한 "김 지사는 지난해 7.15오송참사로 중대시민재해 혐의로 고소된 상태로, 부적절한 언행을 삼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김 지사는 1년이 넘도록 오송참사 진상규명을 거부하고 있다”며 “그럼에도 내란수괴 윤석열을 위로하고 싶다면 단체장의 자리를 내려놓으라”고 강도높게 비판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