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서 노동시민단체 공동 기자회견 개최
공공병원 재정지원 및 역량 강화 방안 촉구
묶음기사

지난 5일 국회에서 이광희 의원과 충북 노동·시민단체가 함께 충북 공공의료 붕괴 대책을 마련할 것을 요구했다.
기자회견에서 이광희 의원은 “의정갈등 장기화와 정부의 재정지원 방기로 충북도민의 생명안전 최후의 보루인 공공의료가 붕괴되고 있다”며 “정부와 충북도는 의료공백 대처 방안은 내놓지 않은 채 공공병원과 국민을 각자도생으로 내몰고 있다”고 규탄했다.
이 의원은 도내 공공병원의 열악한 실태를 지적하며 재정 및 지원 정책 확대를 촉구했다.
그는 “충북 유일 상급종합병원인 충북대병원은 응급실 운영이 마비되고 있고, 청주·충주 의료원은 코로나19 이후 회복기 지원예산을 제대로 받지 못해 심각한 재정난에 시달리고 있다”며 “공공병원의 재정지원 확대와 청주·충주의료원의 공익 적자 해소를 위해 대출이 아닌 온전한 재정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광희 의원은 “정부와 충북도의 무분별한 의대 정원 확대와 의정갈등 피해는 고스란히 환자와 시민, 의료노동자에게 전가된다. 의사 인건비는 천정부지로 치솟고 인력 확보가 어려워 정상 진료가 불가능해지고 있다”며 “파괴적 방식의 의료민영화를 추구하는 속셈이 아니라면 공공의료 정상화를 위한 대대적 예산 투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도지사라면 윤석열 정권을 대신해서라도 최소한 도민의 생명과 민생을 살펴야 한다”며 “도청 주변에 수천억 원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는 치적 쌓기에만 몰두하지 말고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최우선 순위에 두어야 할 것”이라고 질타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민주노총 충북본부, 충대병원청주충주의료원 등 공공병원 노조와 충북시민사회연대회의가 함께 했다.
이들은 “공공의료 위기를 맞으면서 충북도민은 아플 때 치료받을 권리를 빼앗기고, 의료노동자들은 강제휴직이나 임금체불 등 생존권 위협에 내몰렸다”며 “김 지사에게 존립 위기에 놓인 공공의료원 지원 및 조례 제정 등 공공의료 강화 방안을 요구했지만, 생색내기 수준에 그쳐 구체적 대책을 내놓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노동·시민단체는 지난 7월부터 서명운동, 결의대회, 토론회 등을 운영하며 ‘공공의료 살리기’를 위한 공적 지원 확대를 촉구해왔다.
보건의료노조를 비롯한 공공의료기관 노동조합은 김영환 도지사와 면담을 두 차례에 걸쳐 요청했으나 성사되지 않았다. 이들은 일선 노동자의 이야기를 듣고 구체적 대책을 논의해야 한다고 요구한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