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이후 재정ㆍ병상 정상화 난항
전국적으로 퇴직자 느는데 예산은 감소
묶음기사

올해 상반기 기준 충북 두 의료원의 당기순손실액이 161억4256만원에 달했다.
보건복지위 박희승 국회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방의료원의 적자폭이 코로나19 이후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상반기 기준 청주의료원의 당기순손실은 107억5852만원에 달했으며, 충주의료원의 경우 53억8404만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전국 35개 지방의료원 중 단 2곳 원주와 진안을 제외한 33개(성남시의료원 미제출 제외) 지방의료원이 적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의료원이 115억7686만원으로 가장 적자가 컸고, 이어 청주 107억5852만원, 군산 65억7898만원 순이다.
청주의료원의 지난해 병상 이용률은 46.47%이며, 충주의료원은 그보다 낮은 39.34%에 달했다.
지방의료원의 전국 평균 병상 이용률은 코로나 전인 2019년 78.4%에서 2020년 49.5%로 급격히 낮아졌고, 2022년에는 43.5%에 그쳤다. 지난해에도 49.2% 수준으로 소폭 회복하는 데 그쳤다.
지방의료원의 퇴직 인원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최근 5년간 1만140명이 퇴직했으며, 2022년에는 2366명, 지난해에는 2154명이 지방의료원을 떠났다.
지방의료원 경영난에도 지원 예산은 2023년부터 감액됐다. 지방의료원 기능보강, BTL임대료, 파견의료인력인건비 등 지난해 예산은 2291억8900만원으로 전년 대비 10.2% 감액됐다.
충북 노동계는 의정갈등으로 인한 의료공백을 막기 위해 지방의료원 재정 지원을 확충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지난 8일에는 충북도의회 정책복지위원회가 ‘의료붕괴 저지와 공공의료 강화를 위한 중앙·지방정부의 역할 모색’ 정책토론회를 개최한 바 있다.
민주노총 충북본부,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 충북지부, 보건의료노조 충북본부, 충북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가 공동 주최한 해당 토론회에선 공공병원 강화를 위한 인력 확보 및 중앙정부 차원의 지원 촉구 등 지자체의 역할을 제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