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청인 우체국, 업무 개입 및 물량 통제 구조조정과 다름없다"
시민단체, 정당 등 20여개 단체 위탁택배원생존권 보장 촉구

 

노동계, 정당, 시민단체가 10일 서청주우체국 앞에서 우체국 위택택배원의 생계 보장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노동계, 정당, 시민단체가 10일 서청주우체국 앞에서 우체국 위택택배원의 생계 보장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우체국 위탁택배원들은 원청인 우정본부의 업무 개입·통제를 규탄하며 수입 유지를 위한 대책을 촉구해왔다. 이에 지역 시민단체 또한 국가기관이 비정규노동자의 생존권을 위협하는 부당한 행태라며 문제를 제기했다.

10일 민주노총 충북지역본부는 ‘택배노동자 생존권 위협 우정본부 규탄’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20여 개 시민단체가 참여했다.

이들은 "우체국이 외주화를 통해 특수고용노동자인 이들을 고용 불안, 손쉽게 잘라버릴 수 있는 입지로 몰아내고 있다"며 "우정본부와 지원단은 구조조정을 중단하고 안정적인 노동 환경을 보장하라"고 촉구했다.  

충북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안건수 상임대표는 "국민을 위해 공적업무를 수행하는 우체국이 위탁택배원들의 생계를 외면하는 행태가 말이 되느냐"며 "지역의 비정규노동자인 위탁택배원들의 생계 유지와 생존권이 보장될 때까지 함께할 것"이라고 밝혔다.

 

택배노조 청주우체국지회 김기영 지회장은 발언을 통해 위탁택배원들이 고용 불안과 생계 위협에 시달리고 있다고 이야기헀다.
택배노조 청주우체국지회 김기영 지회장은 발언을 통해 위탁택배원들이 고용 불안과 생계 위협에 시달리고 있다고 이야기헀다.

 

위탁택배원들은 "우정본부가 지난해 7월부터 택배원별 평균 배달물량을 175건 이상 수행할 수 없도록 통제를 하면서 수입이 월 40만 원가량이 감소했다"며 수입 유지를 위한 대책 마련을 촉구해온 바 있다.

배달 건수에 따라 수수료를 지급 받는 위탁택배원에게 물량 감소는 수입의 감소로 직결된다. 이에 "일이 줄었으니 어쩔 수 없다며 대책을 세우지 않는 것은 나가라는 것과 다름없다"는 입장이다. 

또한 택배노조 청주우체국지회 김기영 지회장은 지원단과 6월 재계약을 앞두고 위탁택배원들의 계약 해지 사유를 6가지 추가하겠다는 내용을 전달받아 협의 중에 있다고 밝혔다. 

김 지회장은 "기존 계약에서 △지사장 변경 △겸배(결원 물량을 겸해서 배달) 수행 등을 계약 해지 사유를 6가지 조항을 추가하겠다는 내용의 계약서를 받았다"며 "정부의 예산 감축 압박에 위탁택배원들을 더 쉽게 해고할 수 있도록 계약 사항을 바꾸는 명백한 구조조정 시도"라고 비판했다.   

민주노총 충북본부는 위탁택배원들의 물량 보장 대책을 촉구하며 지난달 20일부터 매주 차량 시위를 이어오고 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