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교육청, 다채움 자체적으로 개발·운영하기 역부족
천재교과서와 4일 다채움 활성화 위해 업무협약 체결
도교육청에 디지털 서비스기술, 정책개발, 콘텐츠 제공
“사교육 학습방법 공식적으로 공교육으로 유입” 지적

묶음기사

충북교육청은 4일 ㈜천재교과서와 AI기반 교수학습플랫폼 ‘다채움’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충북교육청 제공)
충북교육청은 4일 ㈜천재교과서와 AI기반 교수학습플랫폼 ‘다채움’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충북교육청 제공)

 

충북교육청이 4일 사교육 업체 ‘천재교과서’와 업무협약을 체결한 가운데 사교육업체 학습방식을 공교육이 공식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또 미래교육을 위해 IT기술을 사용한다고 하지만 실제로는 사교육업체 학습방법(문제풀이식 교육)을 공교육이 도입, 미래교육 본질에서 크게 벗어나고 있다는 지적이다.

윤건영 충북교육감은 4일 천재교과서 박정과 대표와 AI기반 교수학습플랫폼 ‘다채움’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천재교과서는 앞으로 충북교육청과 함께 △다채움 현장지원 및 에듀테크 실증연구 △에듀테크 수업도구 서비스 연계 △컨텐츠 질 관리 △다채움 활성화 정책·교육역량 프로그램 개발 △자문 역할을 하게 된다.

 

·도교육감협에서 사교육업체 콘텐츠·수업도구 살 수도

다채움은 ‘충북 다차원 학생성장 플랫폼’을 말한다. 인공지능·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해서 학생은 자신의 학습수준을 진단하고 진단에 따라 학생들은 각자 맞춤형 학습을 한다는 것이다. 즉 다채움은 초1부터 고1까지 각 학생에게 국어·수학·사회·과학·영어과목에서 취약한 학습 자료를 제공하고 스스로 공부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다채움은 윤 교육감의 핵심 공약으로 도교육청은 지난해 7월부터 사업을 진행했고 올 9월부터는 시범운영을 실시하며 내년 3월 정식 개통한다는 계획이다.

충북교육청이 천재교과서와 협약을 체결하게 된 배경은 충북만의 콘텐츠로는 풍성한 플랫폼 제작이 어렵고, 사교육업체의 기술과 콘텐츠를 받아들여야 한다는 판단 때문이다.

도교육청 이정원 정책기획팀장은 “AI가 구동되려면 수업도구, 문항 콘텐츠가 풍부해야 한다. 다채움 기능을 고도화할 필요가 있다. 현장 교사들이 편할 수만 있다면 천재교과서 뿐 아니라 여러기관의 장점들을 수용할 예정이다”라고 전했다.

이어 "시도교육감협의회 차원에서 사교육업체 문항을 사올 수도 있다"고 전했다.

또 "이번 협약을 통해 천재교과서는 다채움의 디지털 서비스를 계속 도와주기로 했고, 자문도 해주기로 했다. 교사 대상 연수도 도와주기로 했다”고 전했다.

이 팀장은 “천재교과서에 있는 밀크티는 학생들에게 매우 인기가 많고 선생님들도 천재교과서의 티셀파를 많이 이용한다”고 덧붙였다.

 

“기술의 발전이 미래교육은 아냐”

문제는 두 가지다.

우선 빅데이터에 축적된 학생들의 개인정보 보안이 100% 보장되지 못할 수 있다는 점과 미래교육과 거리가 먼 사교육업체의 교육방식을 공교육에서 공식적으로 받아들였다는 점이다.

특히 윤건영 교육감은 충북형 미래교육 지원시스템을 위해 다채움을 운영한다고 밝히고 있다.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신소영 정책팀장은 “진단보다 더 중요한 것은 처방과 실천이다. 코로나 시기 온라인 수업이 많이 보급되었음에도 기초학습 결손이 많아졌다는 것은 결국 온라인 학습과 문제풀이 학습이 결코 학생들에게 유의미한 결과를 내지 못한다는 것을 방증한다”며 “기초학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제풀이 반복 훈련은 효과적이지 못하다”라고 말했다.

이어 “사교육 상품을 시현해 봐도 비슷한 수준의 문제들을 숫자만 바꾼다든지 유사한 지문을 반복적으로 제시하는 형태이지 그것 이상의 학생들의 깊은 사고를 촉발하는 콘텐츠들이 보이지는 않는다. 단순히 기술을 도입한다고 해서 미래지향적 교육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전교조 충북지부 이수미 정책실장도 “수업혁신은 디지털 기술 자체가 아니다. 물론 교실 내에서 디지털 기술을 처음 시도했을 때 좋아하는 아이들도 있다. 하지만 수업에 쫒아가지 못하는 아이들의 소외 문제는 여전하다”며 “기술이 이런 문제를 해결해 줄 수는 없다”고 전했다.

학생들의 개인정보 등 빅데이터 보안문제도 제기된다.

이수미 실장은 “학생들의 자료가 사교육업체 서버에 보관되는 문제, 전자시스템 안정성 문제가 계속 제기되고 있다. 보안문제, 개인정보 유출문제가 걱정이다”라고 전했다.

또 신소영 정책팀장은 “AI교과서 등 학생들의 수준을 진단하고 맞춤형 평가가 제공되는 시스템은 학생들의 평가 이력 자체가 남는다. 교육청 차원에서 매우 기민하게 관리를 해주면 다행이지만 사교육업체는 수집된 것을 자료를 다시 재가공해서 얼마든지 다른 상품화를 할 수 있다. 원치 않는 방식으로 사교육이 조장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