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 심사 기간 건너뛰고, 10일 만에 졸속 처리 시도 

충청권 4개 시·도지사는 지난해 2월 7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2030 하계아시안게임을 공동 유치하기로 했다. 왼쪽부터 이춘희 세종시장, 이시종 충북지사, 도종환 장관, 나소열 충남도 정무부지사, 허태정 대전시장. ⓒ 뉴시스
충청권 4개 시·도지사는 지난해 2월 7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2030 하계아시안게임을 공동 유치하기로 했다. 왼쪽부터 이춘희 세종시장, 이시종 충북지사, 도종환 장관, 나소열 충남도 정무부지사, 허태정 대전시장. ⓒ 뉴시스

그동안 대대적인 홍보에 나섰던 2030 아시안 게임 충청권 유치가 물거품이 됐다.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OCA)에 유치 의향서를 제출해야 하는 기간은 22일(수)까지 였다. 충청북도가 13일(월)에 제출한 2030 아시안게임 유치 기본 계획을 정부가 승인하지 않으면서 사실상 무산됐다. 

충청북도가 정부 승인 계획 시점을 잘못 잡은 점이 원인이 됐다. 통상 개최 8년 전에 아시안 게임 개최지를 결정할 것으로 계산하고, 내년으로 승인 계획 시점을 잡았다. 그러나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는 올해 초부터 개최지 신청을 받았고, 충청북도는 급박하게 신청 절차에 들어갈 수밖에 없었다. 

예산 심사 기간은 90일인데 충청북도의 유치 기본 계획 시점을 보면 불과 열흘 만에 정부에 승인을 요구한 것이다. 사업비가 1조 5,080억 원에 이르고, 회원 45개국에서 1만여 명이 참가하는 ‘메가 이벤트’인데 준비가 철저하지 못했다는 지적이 이어진다. 

처음 2030 아시안 게임 충청권 유치를 제안한 건 권선택 전 대전시장이다. 이후 충청권 4개 시·도지사는 지난해 4차례 당정협의회를 거치면서 대대적인 홍보에 돌입했다. 이번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은 충북도당 차원에서 10대 공약 중 하나로 내걸었다. 도종환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핵심 공약이기도 했다. 

“시민들의 공론화 과정도 없었고, 왜 필요한지에 대한 설명도 없었습니다. 전반적으로 적자가 크게 예상되는 상황에서 특별한 메리트가 있지도 않으면서 ‘충청의 꿈’이라며 언론보도를 했죠.

1조가 넘는 사업을 이런 식으로 진행했다는 점에서 ‘보여주기 중심’의 행정이 드러난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김미진 충북청주경실련 부장은 “앞으로 메가 이벤트를 열고 싶다면 철저한 예산 분석과 그로 인해 얻을 수 있는 이점이 무엇인지 제대로 파악한 이후에 이뤄져야 한다”며 “취소가 될 만큼 허술하게 진행하면서 그렇게까지 홍보했다는 게 황당하다”고 전했다. 

한편, 충청북도 관계자는 “정부가 추진하는 2032년 서울-평양 하계올림픽과 동시에 아시안게임을 유치하는 데 부담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며 “장기적으로 충청권 아시안게임 유치에 나설지 여부는 추후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