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고·충주여고 “명문고 육성, 인재유출 막아야” 반대 … 나머지 학교는 찬성
학부모 의견도 엇갈려…“선택권 침해 안돼” vs “우수 학생 없는 비평준화 무색”

고교평준화와 비평준화 문제가 화두로 떠오른 것은 최근 도교육청이 현재 비평준화 지역인 충주시와 옛 청원군 지역을 평준화 지역에 포함할지에 대한 연구를 중장기적으로 진행하면서 본격화됐다.
물론 이전에도 고교평준화를 둘러싼 ‘갑론을박’을 벌어졌다.
비평준화 지역으로 학교 별로 신입생을 뽑는 충주지역은 학업성적이 상대적으로 우수학생들이 선호하는 충주고와 충주여고는 평준화에 반대하고 있다. 그리 크지 않은 충주지역의 규모를 감안할 때 지역 명문고 육성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또 우수 자원의 유출을 막아 지역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서도 기존의 비평준화 제도가 가장 적합하다는 입장이다.
상위권 학생들이 모여 내신 경쟁에서 불리하게 작용한다는 우려에 대해서도 학부모들과 학생들의 선택이라며 이를 박탈해서는 안 된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중학생들 학력 저하 우려”
학부모 임모(45·충주시 용산동)씨는 “우수 인재들이 자꾸 외부로 유출되다보니 지역 자체가 정체되고 여러 가지 문제가 생긴다. 학부모들과 학생들이 원하는 대학을 가기 위한 방법은 다르지 않느냐. 고등학교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선택권을 빼앗는다면 그것이 더 문제”라고 말했다.
또 다른 학부모 김모(48·충주시 금릉동)씨는 “재작년으로 기억되는데 당시 충주농고가 일반계고로 전환되면서 일반계고가 8개교로 증가하면서 고교입시제도가 선발고사에서 평준화제도로 바뀌게 된다는 소문이 돌았다”면서 “그런 이유로 충주시내 중학생들 사이에 ‘내년부터 고교평준화가 된다’는 소문이 퍼지면서 학습효과 저하현상이 일어났다”고 언급했다.
김씨는 “그때 우리 아이도 중3이었는데 ‘추첨에 따라 학교가 배정되므로 이제 공부를 열심히 하지 않아도 된다’는 말을 했고, 심지어 주변에 학원수강을 중단하는 사례도 있었다”며 “평준화가 혹 중학생들의 학력 저하로 이어지지 않을지 걱정된다”고 덧붙였다.
이에 반해 평준화를 찬성하는 측에서는 우수학생들이 특정학교에 몰리는 것을 방지하고, 지역 일반계고교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평준화가 시급하다는 논리다.
평준화를 찬성하는 한 교육전문가는 “고교 비평준화지역인 충주에서 고교생들의 우수대학 진학률이 계속 부진한 성적을 보이면서 평준화제도 도입문제가 수면 위로 떠오른 것”이라며 “평준화 반대하는 쪽은 무조건 반대만 할 것이 아니라 이제 정말 깊이 고민해봐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사실 충주지역에서 학력 상위권 학생들이 다니고 있는 충주고의 경우 198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한 해에 서울대에 20~30여명을 합격시키며 전국의 명문고로 자리 잡았다.
하지만 최근에는 서울대 진학이 2~3명에 불과하고, 수도권 명문대에 들어가는 학생들까지 합쳐도 20여명에 못 미쳐 예전에 비해 현격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 같은 사정은 충주지역 여고 중 학력 상위권 학생들을 보유한 충주여고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여기에는 최근 대학입시제도가 내신성적을 중시하는 수시전형으로 60% 이상의 학생들을 선발하고 있어 상위권 학생들이 모인 충주고와 충주여고가 상대적으로 대학입시에서 불리한 입장이지만 이에 적절히 대응치 못한 학교 측의 책임도 크다는 것이 중론이다. 때문에 제도적 개선을 위한 고교 평준화 도입문제가 충주지역에서 공론화되고 있는 것이다.
충주고와 충주여고를 제외한 나머지 학교들은 대부분 평준화에 찬성하고 있다.
평준화 찬성 측 학교 관계자는 “우수학생들이 특정학교에 몰리는 것을 막고, 평준화 지역 일반계고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평준화가 조속히 실시돼야 한다”며 “평준화를 통해서 상위권 학생들의 자원이 골고루 분산되면 경쟁력을 통해 학생들이 우수한 대학에 진학하고, 좋은 교육활동이 일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일반계 고교 경쟁력 높여야”
의견이 엇갈리면서 이해관계를 함께하는 학교 간에 물밑 공동대응 움직임도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도교육청은 현장 교사와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고교평준화 연구팀’을 통해 연구를 수행할 것으로 전해졌다. 해당 지역 주민과 학생, 학부모의 의견도 수렴할 예정이다. 또 연구결과가 나와도 충주를 평준화지역으로 확대할지는 신중히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도교육청은 현재 가급적 말을 아끼고 있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충청리뷰와의 전화통화에서 “아직 충주지역 고교 평준화와 관련돼 착수한 것이 없다”며 “민감한 사항이라 중장기과제로 갖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아직 확정되지 않은 용역이지만 청주권 학교 배정과 방법 개선을 통해 결과를 보고 충주지역도 확대할지 결정할 것”이라며 “그럴 경우 평준화는 청주와 같은 맥락으로 간다고 보면 된다”고 강조했다.
도교육청은 청주권 고교 제도에 대한 연구용역이 끝나는 내년 6월경 충주지역에 대한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고교 평준화 문제가 본격화되면서 지역에서 상당기간 큰 관심거리로 대두될 것으로 예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