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곡면·장호원읍·철도관리公 견해차만 확인


중부내륙철도 충북 음성군 감곡역사(驛舍·역 고유번호 112) 위치를 놓고 28일 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읍 장호원국민체육센터에서 3자 회의가 열렸다.

그러나 음성군 감곡면, 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읍, 한국철도시설관리공단은 기존 견해만 확인한 채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이날 회의에 음성군 건설교통과장과 감곡면비상대책위원회 관계자 3명이 참석했다. 이천시는 교통과장과 장호원읍비상대책위원회 관계자 3명을 내보냈고 철도시설공단 3명도 참석했다.

두 지역 주민들은 3자 회의 내내 감곡역사 유치 당위성을 내세우며 치열한 갑론을박을 벌였다.

경명현 감곡비대위원장은 “철도시설공단은 지난 4월 주민설명회 때 역사 위치는 감곡면이라고 약속했다”면서 “그러나 국토교통부 지시로 장호원읍 변경을 추진하고 있다”고 발끈했다.

경 위원장은 “장호원 역사 위치로 알려진 곳은 지반이 약해 안전에도 위험성이 있다”며 “극동대, 강동대, 매괴성당 등이 있는 감곡면에 역사를 만드는 것이 옳다”고 주장했다.

그는 “철도시설공단은 감곡면과 장호원읍 주민간 갈등을 부추기고 있다”며 “아무런 해명도 없이 감곡역사 위치를 변경한 이유가 무엇이냐”며 따졌다.

김찬식 장호원비대위원장은 “112번 역사는 안전하고 오래갈 수 있어야 한다”며 “기술적인 문제는 회의 등을 통해 보완하면 된다”고 맞불을 놓았다.

김 위원장은 “인구가 많은 장호원읍을 외면하고 감곡면 쪽으로 역사를 설치하는 것은 문제 있다”며 “철도공단이 역사 위치를 놓고 오락가락하는 바람에 지역 갈등만 유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112번 역사는 장호원읍과 감곡면 모두 이용할 수 있는 위치에 들어서야 한다”며 “두 지역 주민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대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철도시설공단 관계자는 “감곡면과 장호원읍은 하나의 공동생활권”이라며 “주민간 갈등으로 민심이 갈라져 안타깝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철도시설공단도 이번 사태의 책임을 느낀다”며 “공동 발전할 방안을 마련하면 적극적으로 수용할 것”이라고 했다.

앞서 철도시설공단은 4월 30일 감곡면 주민설명회 때 감곡면 왕장리 일원에 정거장과 역사를 설치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7월 18일 장호원 주민설명회에선 감곡면 왕장리와 장호원읍 노탑리를 가로지르는 군도 22호선 경계지점에 역사를 설치하는 것으로 슬그머니 변경한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