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이하 교문위) 안민석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은 김윤배 총장을 향해 우리나라 대표 사학 비리 대학 총장으로 증인석에 참석시킨 현실이 서글프다며 학내 갈등 해결 방안에 대해 따져 물었다.
안 의원은 “우리나라 대표 사학 비리 대학의 공통점은 과다 적립금을 쌓아뒀다는 점과 오너 총장이라는 졈이라며 “3000억원의 적립금을 쌓아놓고 정부재정지원제한대학에 지정돼 학교를 혼란에 빠지게 한 책임을 어떻게 질 것이냐”고 질타했다.
도종환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은 교비의 부당사용과 지방대학 적립금 1위에도 정부재정지원제한대학에 지정된 점, 김준철 전 총장의 장례비용을 교비로 지출한 점, 적립금 형성 문제 등을 집중 질타했다.
도 의원은 “청주대는 교비회계 누적적립금이 2928억원으로 전국 6위, 지방대 중 1위지만 교육비 환원율은 전국 사립대학 중 최하위”라며 “지난 2001년 취임이후 1654억원의 적립금이 늘어난 반면 학생들을 위한 투자는 전혀 이뤄지지 않았다”고 비난했다.
도 의원은 김준철 전 총장의 장례비용과 청석 역사교육관 건립비용을 교비회계로 지출한 점도 문제 삼았다. 도 의원은 “김준철 전 총장의 장례비용과 영결식 비용 등을 법인이 아닌 교비로 사용한 것과 가족들을 위한 청석역사 교육관 건립 비용 40억원도 교비회계로 지출한 것은 사립학교법 규정에 어긋난다”며 황우여 교육부 장관에게 특별감사를 요구했다.
새정치연합 유기홍 의원과 정의당 정진후 의원도 청주대 교비회계 사용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했다.
유 의원은 “청주대 전 교수협의회 박정규 교수가 학교에서 파면당한 뒤 대학을 상대로 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해 승소한뒤 대학은 변호사비용과 손배금 7억원을 교비로 지급했다”며 “교수신분이 아닌 박 전 교수의 손배금과 변호사비용을 법인이 지급토록 환수조치하라”고 주문했다.
정 의원도 “김 총장은 2011회계연도에 이사회 의결 없이 120억원에 달하는 채권 투자를 했다”며 “교육여건 개선에 사용돼야 할 교비회계가 잘못 사용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새정치연합 설훈 교문위 위원장도 “부실 운영의 책임은 총장에게 있으며 학내 구성원도 사퇴를 원하는 만큼 총장직에서 내려와야 한다”고 밝혔다.
교문위 여러 의원이 김 총장의 퇴진을 요구했지만 김 총장은 학교 정상화가 우선이라며 퇴진의 뜻이 없음을 분명히 했다.
김윤배 총장은 “모든 것이 부덕의 소치이며 재정지원제한대학에 지정된 것에 대한 책임을 지겠다”며 “학교가 정상화 되면 물러나겠지만 지금처럼 여론 재판식이나 강제로 퇴진하는 것은 동의할 수 없다”고 답변했다.
이날 청주대 정상화를 위한 범비상대책위원회 등 학교 구성원 200여명은 이날 오후 3시30분 교육부 인근 광장에 모여 집회를 열고 김 총장 퇴진을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