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인들의 도덕적 해이 전국적으로 도마위에 올라
청주시의장·충주시의장 사건 시민들 사이에서 회자
두 사건은 프란치스코 교황이 우리나라를 방문한 가운데 터졌다. 모든 신문·방송의 초점이 교황 방문에 맞춰져 있었음에도 김 지검장과 남 지사는 연일 언론에 오르내렸다. 김 지검장은 지난 18일 사표를 제출해 면직처리 됐다. 남 지사는 이미 지난 13일 아들이 폭행사건으로 입건된 사실을 통보받고도 침묵을 지키다 언론에 보도되자 17일 사과해 빈축을 사고 있다.

최근 충북지역에서는 청주시의장과 충주시의장이 시민들로부터 호된 질타를 받았다. 지도층 인사로서 부적절한 처신과 발언이 문제됐다. 역시 엄격한 도덕성이 요구된다는 점에서 다시 한 번 짚고 넘어간다. 김병국 청주시의장(새누리당)은 의원들에게 순금배지를 선물했다는 의혹이 일어 한바탕 곤욕을 치렀다. 김 의장은 지난달 한 개당 39만원짜리 순금 두 돈 의원 배지 38개를 자비로 제작해 7월 18일 의장단 월례회의 때 13개, 24일 의원연찬회 때 나머지를 배포했다고 지난 7일 기자회견에서 밝혔다. 전체 의원 38명 중 김 의장을 제외하고 2명은 받지 않았다. 이 중 김 모 의원만 “공식 배지가 있으니 필요없다”며 거절했고, 나머지 1명은 연락이 되지 않아 받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단 1명만 “순금배지 필요없다”
이 사건은 지난 8월 7일 지역언론에 집중 보도됐다. 김 의장은 기자와 만난 자리에서 “시의회 사무국에서 지급하는 2만5000원짜리 배지는 바로 벗겨진다. 그래서 배지가 1년에 2~3개 필요하다. 사무국에서는 처음에만 무료 지급하고 이후에는 개인이 사야 한다. 그러다보니 4년 동안 8개 이상 맞춘다. 의원들 몇 몇이 벗겨지지 않는 배지를 만들자고 제안해 공동구매키로 하고 제작한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어떤 자리에서 순금배지를 만들자는 얘기가 나왔는지, 공동구매 결정은 또 어떤 자리에서 했는지는 아직도 분명치 않다. 많은 의원들은 “배지를 어떻게 만들게 됐는지 듣지 못했다. 다만 배지를 주면서 돈을 내라고 했고, 며칠 후 입금계좌 문자를 받았다”고 말했다. 여기저기 언론에 보도된 때문인지 상당수 의원들은 “나는 모른다. 배지를 받고 입금했다”며 자세한 설명을 피했다. 배지 제작 건을 전체 의원들이 모인 자리에서 상의하지 않았음을 반증하는 대목이다.
그러나 현재 순금배지를 달고 다니는 의원은 찾아볼 수 없다. 시민들이 반감을 갖고 바라보기 때문이다. 김 의장도 “시민 정서상으로는 문제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시민들은 이번 기회에 공인으로서의 처신이 어떠해야 하는지 다시 한 번 깨달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내 돈으로 내가 순금배지 만들어 달고 다니는데 왜 간섭하느냐고 할 수 없는 것은 시의원들이 공인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청주시의원들 중 “순금배지가 왜 필요하냐. 나는 받지 않겠다”고 한 사람이 단 1명에 불과했다는 것도 실망스런 대목이다. 따라서 대다수 의원들은 김 의장에 대해 이러쿵 저러쿵 말을 할 수 없게 됐다. 과정이 어떠하든 결과적으로 같이 동조한 꼴이 됐기 때문이다. 선관위가 법적으로 문제가 안된다고 결론 내렸음에도 시민들이 훌훌 털지 못하는 것은 의장과 의원들의 부적절한 처신 때문이다.
윤범로 시의장 사퇴여론 들끓어
충북참여연대는 이에 대해 “청주시의장이 금배지를 돌리고 이로부터 보름 정도가 지난 후 계좌번호 문자를 보낸 것은 선물로 돌렸다가 문제가 되자 뒷수습을 한 게 아닌지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또 만일 시의회가 공동구매 하기로 한 게 맞더라도 비난을 피해갈 수 없다. 현행 의정비가 4인가족 표준생계비에도 못 미친다며 의정비를 1000만원 이상 인상해달라고 해놓고 순금배지를 만든다면 주민들이 얼마나 기가 차겠는가”라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이 사건은 현재 ‘진실게임’을 벌이며 양 측의 주장이 맞서고 있으나 충북의 여성계는 사건의 본말이 묻혀서는 안된다는 입장이다. 하숙자 청주여성의 전화 대표는 “가해를 해놓고도 가해라고 생각하지 않는 게 많은 남성들 시각이다. 이렇게 되면 마치 여성이 거짓말하는 것처럼 돼버린다. 이는 남성들의 시각일뿐이고 진실은 규명돼야 한다. ‘진실게임’이란 단어는 쓰고 싶지 않지만, 모든 성폭력사건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진행과정을 살펴보고 필요하면 의견서를 내겠다”고 말했다. 충북참여연대는 윤 의장이 주민대표 자격없다며 사퇴를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