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득표 교육감 예비후보는 14일 기자회견을 갖고 ‘교육 CEO의 2년 임기 보장’과 ‘제왕적 교육감 인사권 개혁’을 공약했다. 홍 예비후보는 “교육장이나 직속기관장이 책임경영을 할 수 있는 기간이 최소한 2년은 되어야 하는데 1년 보직 인사가 일반화되고 있다”며 “앞으로 교육CEO(교육장, 직속기관장, 학교장 등)의 책임경영이 가능한 2년 임기를 보장하고, 정년 1년을 앞둔 은퇴 예정 교원에게 경력관리용으로 요직에 발탁하는 특혜·보은성 인사를 없애겠다”고 밝혔다.
또한 “교육감의 인사권 남용을 방지하기 위해 교원인사위원회에 교원단체 대표(교총과 전교조 등)를 인사위원으로 참여시키겠다”며 “교육장과 직속기관장은 100% 공모하고, 학교장의 개방형 공모제를 확대하되 대학 강의평가 프로그램과 같은 시스템을 도입해 교육감의 인사정책 등을 매년 평가받겠다”고 덧붙였다.
장병학 예비후보도 14일 기자회견을 열고 당선되면 4년 단임만 하고 물러나겠다고 밝혔다. 장 예비후보는 “교육감에 당선되면 교육가족과 소통하면서 깨끗하고 공정한 인사를 비롯해 기본이 바로 선 충북교육을 실현하는데 온 몸을 바치는 등 4년 단임임기를 깨끗하게 마치고 후학들에게 자리를 물려주겠다”고 밝혔다.
김석현 예비후보는 8일 기자회견을 갖고 “도교육청의 조직을 기획관리국과 수업지원국으로, 시군 교육청의 조직도 행정지원과와 수업지원과로 변경하겠다”고 말했다. 김 후보는 “교육예산과 행정인력도 수업중심으로 전환하고 수업과 관련없는 사업은 가급적 폐기하겠다”며 “또 교사에게 교육과정 편성 운영권, 수업권, 교육 평가권을 주고, 학교내 행정실을 수업실로 변경하는 등 수업중심 지원에 진력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학교마다 수업과 관련이 없는 잡무로 인해 교육의 피폐화를 초래하고 있다”며 “교사의 전문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교무실무요원을 확대하겠다”고 강조했다.
홍순규 예비후보는 유아지킴이, 내집앞돌봄센터 운영 등 유아 교육 정책을 비중있게 발표했다. 홍 예비후보가 발표한 유아교육 정책은 △유치원 지킴이 배치 및 유아 안심알리미 서비스 확대 시행 △유치원생 대상 상해보험 확대 적용 △유아 놀이시설 확충 △유아 체험활동 지원 확대 등이다. 홍 예비후보는 ‘학교지킴이 제도는 초등학교 등에서 운영되고 있는 상태로 유치원까지 확대하겠다”며 도내 북부와 남부지역에 유아체험교육센터 건립을 공약했다.
후보단일화에 참여하지 않은 손영철 예비후보는 15일 기자회견을 갖고 ‘노벨상 펀드’를 공약했다. 손 후보는 “‘노벨상 펀드’는 후원금이 아니다. 저를 지지하고 깨끗한 선거를 원하는 도민들의 바른 교육 실현이라는 희망을 담아 십시일반으로 소액을 투자하면 8월4일까지 연리 3.3%의 작은 정성과 감사의 마음을 담아 되돌려 드리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모금액은 도민과 충북교육 모두에게 희망이 시작됐다는 의미로 7억7700만원을 모금하겠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