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치단체장 선거에 밀려 표심잡기 안간힘

충북교육감 선거에 출마하는 예비후보들이 교육과 관련된 정책보다는 사회적 이슈로 선거활동을 펼치고 있다.

이는 자치단체장 선거에 밀려 유권자들의 관심이 부족한 탓에 교육감 예비후보들이 유권자들의 표심을 잡기 위해 선거 전략으로 사회적 이슈를 찾아 자신의 목소리를 내기 때문이다.

강상무 예비후보(전 청주외고 교장)은 지난달 27일 충북도교육청 브리핑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3·1절을 앞두고 일본은 역사 왜곡 중단하고 세계 평화에 기여하라고 촉구했다. 강 예비후보는 “올해 3·1절은 95주년이 되는 해로 뜻 깊은 의미가 있지만 일본은 부끄러운 과거사 사죄는커녕 인류 평화를 훼손하는 잘못된 길로 나아가고 있다”며 “우리 민족의 번영과 세계 평화를 위해 일본의 역사왜곡과 군사대국화를 강력 규탄한다”고 밝혔다.

이어 “자국의 역사를 가르치는 국사 교육은 민족의 번영과 미래가 달려 있는 만큼 객관성에 근거한 사료를 바탕으로 올바른 사관에 입각한 국사 교과서가 만들어져야 한다”며 “소모적인 국사 교과서 논란을 종식시키기 위해 국사 교과서를 포함한 교과서 편찬 체제 연구, 검토를 하겠다는 교육부의 발표를 차분히 지켜보겠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김병우 예비후보(전 충북교육발전소 상임대표)는 최근 순천 고교생 뇌사 사건, 선행교육 규제 특별법 국회 본회의 통과, 방사능으로부터 안전한 급식을 위한 충북 사람들 출범 등을 내용으로 논평을 냈다. 선행교육 규제 특별법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된 지난 20일 김병우 예비후보는 논평을 통해 “학원의 선행학습 규제 내용이 빠져 있기는 하지만 국회가 나서서 선행학습의 폐단을 막고자 노력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조치라고 생각한다”며 “긍정에너지를 모아 충북교육의 경쟁력을 높여나갈 이번 특별법 통과를 환영한다”고 밝혔다.

자치단체장 선거와 기초의원 선거는 보통 소속 정당으로 출마자들의 색깔이 구분된다. 이름만으로도 15% 이상 지지율이 나오는 이유도 여기 있다. 하지만 교육감 선거는 정당이 없다 보니 예비 후보들이 자신만의 색깔을 표현하기도 어렵다. 지난해 10월부터 후보 출마를 선언하고 예비후보 등록을 하고 각 지역을 돌며 선거운동을 하고 있지만, 여론 조사를 통해 나오는 지지율은 대부분 후보자들이 한 자리에 그치고 있다.

한 시민은 “교육감 후보들이 충북교육과 관련된 내용이 아니라 그날그날 이슈가 된 사회 현상과 사건으로 기자회견을 하고 논평을 내는 것이 이해가 되지 않는다”며 “선거 운동을 하는 것인지 아님 시민사회단체가 보도자료를 낸 것인지 구분이 가지 않아 유권자로서 혼란스럽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