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미애 의원 도교육감 질타에 교육청 간부들 우루루 쫓아가 항의
사태 심각해도 도의원들 ‘표 떨어질라···’ 눈치보며 모르쇠 ‘실망’

▲ 도의원의 5분자유발언 내용을 놓고 집행부 공무원들이 쫓아와 항의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사상 초유의 일이다. 도교육청 간부들의 지나친 교육감 감싸기를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그럼에도 도의회는 이를 문제삼지 않았다. 사진은 도의회 본회의 모습.

충북도의원의 5분자유발언에 대해 충북도교육청 교육감과 간부들이 집단 항의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최미애 도의원(민주·청주)은 지난 1월 24일 열린 임시회에서 이기용 교육감의 비정상적 정치행보에 대해 문제점을 지적했다. 최 의원은 지난해 12월 27일자 본지에 보도된 이 교육감의 청명학생교육원 사건을 거론했다. 이 교육감과 교육계 간부들이 청명학생교육원에 모여 술판·도박판·개고기 먹자판을 벌인 것을 말한다. 이 사건 이후 시민사회교육단체의 비난성명이 잇따랐다.

최 의원은 “이 교육감은 음주가 금지돼 있는 청명학생교육원에서 술판을 벌인 사실이 언론에 보도됐다. 또 교육부장관이 방문했을 때 가짜 원장을 내세워 시민단체들로부터 강력 비판을 받았다. 최근에는 교육감이 새누리당 청주상당 당원협의회 행사에 참석했다고 한다”고 전제하고 “일부 교사들이 정당에 가입해 소액의 후원금을 냈다고 중징계한 것과 비교하면 교육감의 특정정당 참여와 정치행보는 매우 이율배반적이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 교육감은 자신의 직위를 권력창출에 철저히 이용하고 교육의 정치 중립을 무너뜨려 교육계에 말할 수 없는 혼란을 초래했다고 지적했다. 최 의원은 또 교육감이 권력창출에 급급한 나머지 판단력이 흐려져 교육을 한없는 낭떠러지로 밀어넣고 있다고 강력 비판했다.

그러자 도의회 폐회 후 이 교육감이 최 의원을 따라 나와 5분발언 내용에 할 말이 있다고 했다는 것이다. 이에 최 의원이 이의가 있으면 보고서로 내달라고 하자 “교육감이 의원에게 보고서를 내느냐”면서 일단락 됐다는 것. 하지만 곧이어 김대성 부교육감과 김화석 교육국장 등 간부들이 최 의원의 사무실까지 따라와 집단으로 항의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최 의원은 “이들은 본회의장에서 그런 말을 하느냐, 언론보도가 났다고 다 사실이냐, 청명학생교육원 건은 교육위원회에서 사실이 아닌 것으로 다 해명된 것이다 등을 중구난방으로 쏘아댔다. 의원의 5분발언이 마음에 안 든다고 이런 식으로 항의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도교육청은 이 교육감이 마치 도지사나 된 것처럼 의회를 경시했다”고 분개했다. 이 자리에서 김화석 교육국장은 “뭐가 술판이고, 무엇이 낭떠러지로 떨어지는지 얘기해보자”고 항의했고, 최 의원은 “이 교육감이 도지사 다 된 줄 아느냐. 도의원을 협박하느냐”고 맞받아쳤다는 후문이다.

지난 1월 21일 도교육청의 도의회 교육위원회 업무보고 때 이광희 의원(민주·청주)이 청명학생교육원 사태에 대해 문제를 지적하자 김대성 부교육감은 “이 날 일상적인 회의를 했고 술판과 도박판, 개고기판을 벌인 적이 없다. 술은 건배하는 정도에서 끝났다”고 말했다는 게 관계자들 얘기다. 이 의원은 “내가 속기록 있는데서 얘기하자고 했다. 이 과정에서 고성이 오갔다. 나는 내 얘기를 했고, 교육청측은 부인했다. 이날 이런 일이 없었던 것으로 해명된 게 아니고, 각자 얘기를 했을 뿐이다”고 잘라 말했다.
이 교육감과 도교육청 측은 본지 기사에 대해 어떤 해명이나 사과를 한 적 없다. 충북참여연대가 지난 1월 14일 감사원에 감사를 청구했음에도 일언반구 하지 않고 있다. 만일 본지 기사가 오보였다면 본사에 항의하거나 언론중재위원회에 제소했을 것이다. 하지만 이런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 본지는 상당한 근거를 가지고 기사를 작성했다.

그런가하면 이 날 도교육청 간부들이 도의회 정책복지위원회 의원 사무실에 들어와 최 의원에게 항의하는데도 동료 의원들은 아무도 제지하지 않았다고 한다. 의원들은 도정질문이나 5분자유발언 시간에 소신껏 문제를 제기할 수 있다. 그동안 의원이 집행부나 단체장의 문제를 질타했다고 집행부가 쫓아와 항의한 사례는 없었다. 도교육청 간부들의 지나친 교육감 감싸기가 아닐 수 없다. 그럼에도 정책복지위원회나 도의회가 도교육청에 정식 항의하지 않은 것은 6월 선거를 의식한 지나친 몸조심 아니냐는 게 중론이다.

더욱이 이런 상황에서 일부 민주당 도의원들은 “민주당 표 떨어지게 도교육청을 왜 건드리느냐”며 불만을 표시했다는 것. 잘못된 것을 잘못됐다고 지적해야 할 의원들 또한 정의롭지 못한 모습을 보이고 말았다. 이에 대해 모 의원은 “도의원을 쫓아와 항의한 집행부의 태도는 대단히 잘 못 됐다. 지금까지 이런 예가 없었다. 도의회는 이를 공식적으로 문제삼았어야 했다”고 아쉬워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