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대학별 차별 … 서열화·상대적 박탈감 우려
삼성의 ‘대학총장 추천제’를 둘러싼 논란이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27일 오후 3시 현재 포털 사이트 다음의 ‘실시간 이슈 검색어’ 1~10위 모두 ‘삼성 + ㅇㅇ대’로 도배되는 기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삼성은 지난 15일 대학 총장에게 인재 추천권을 부여, 추천권을 받은 학생들은 서류전형 없이 삼성직무적성검사(SSAT)를 볼 수 있는 혜택을 주겠다는 내용을 담은 신입사원 채용제도 개편안을 발표했다.
대학에서 평소 학업과 생활에서 인정받는 우수한 인재가 우대받을 수 있도록 하고, 현장에서의 인재 발굴을 강화하겠다는 취지에서다.
하지만 이러한 의도와는 달리 삼성의 새 채용제도는 지역별, 대학별 차별을 부추기고 있다는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특히 삼성이 전국 200여 4년제 대학에 통보한 ‘대학별 할당인원’이 공개되면서 ‘삼성식 잣대의 대학 서열화’ 논란에 불이 붙고 있다.
일각에서는 재단이 삼성그룹과 연관된 성균관대가 가장 많은 인원을 할당받았다는 점, 또 영남권 대학이 호남권 대학에 비해 많은 인원을 확보했다는 점, 이공계가 상대적으로 약한 여대에는 비교적 적게 돌아갔다는 점에 대해 강한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삼성이 가장 많은 추천권을 할당한 대학은 성균관대로 115명이다. 이어 서울대와 한양대 110명, 연세대와 고려대, 경북대는 각 100명에 대한 추천권이 주어졌다.
충북에서는 거점대학인 충북대학교가 30명으로 가장 많다. 이어 청주대, 서원대, 한국교통대가 각 10명의 추천권을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충남지역 대학의 경우 우송대 6명, 건양대 8명, 한밭대 10명, 대전대 8명 등으로 알려졌다.
충북대의 경우 같은 국립대학인 경북대(100명), 전남대(40명)보다도 적은 추천권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대학신문이 밝힌 삼성의 총장 추천 인원 할당 현황을 보면 이공계열이 강세인 학교에 많은 인원의 추천권이 주어졌다. 한양대 110명, 인하대 70명의 추천권이 배정됐다. 여대의 경우 이화여대가 30명, 숙명여대 20명, 서울여대 15명, 덕성여대 10명 등 남녀 공학 대학에 비해 적은 인원을 받았다.
충북지역의 한 대학 관계자는 “총장 추천권을 받지 못한 대학들의 상대적 박탈감도 문제지만 대기업에서 대학별로 인원을 배정한다는 자체가 대기업의 횡포로 보여진다”며 “교육부가 대학 구조개혁을 내세워 하는 평가보다 오히려 삼성이 추천권을 할당해 수도권과 지역의 서열화를 더 부추기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정치권에서도 이에대한 비판이 이어졌다.
이날 민주당 우원식 최고위원은 보도자료를 통해 “이번 삼성발 대학서열화는 자신들의 입맛에 맞는 기준대로 재배열하겠다는 대단히 오만한 발상으로 지역 거점대학을 고루 지원하는 정부의 지방대 육성책에도 역행하고 이공계 쏠림현상마저 조장하고 있다”고 지적하는 등 야권의 비판이 쏟아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