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국제공항 활성화·국립암센터 분원 오송유치 등

수년째 해법을 찾지 못하고 있는 충북의 현안사업들이 또다시 해를 넘긴다. 해법을 찾기 위한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4일 충북도에 따르면 청주국제공항 활주로 연장 등 공항활성화 관련 사업, 국립암센터 분원 오송 유치, 국립노화연구원 유치가 큰 진전을 보이지 못하면서 내년을 기약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들 현안사업은 오랫동안 해결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어 해법을 찾기 위한 특단의 조치가 없는 한 내년 해결도 불투명하다.

세종특별시 출범으로 중부권 관문역할로 활성화에 대한 기대를 모으고 있는 청주국제공항 활성화 관련 사업이 대표적인 고질적 미해결 현안사업이다.

청주국제공항 활성화 관련사업 중 하나인 활주로 연장 사업은 도가 2744m인 활주로를 3200m로 늘리는 사업에 총력을 기울여왔다. 하지만 경제적 타당성을 연구한 한국개발연구원(KDI)은 경제성 낮음으로 평가했다. B/C(비용대비 편익률)는 적어도 0.8 이상은 돼야 하지만 KDI의 평가는 0.47이다.

도는 그동안 활주로 연장사업의 충청권 광역지자체 공동노력 의지를 보이는 등 정부를 대상으로 설득작업을 벌여왔었다.

특화 국제노선신설도 개항이후 지속적으로 요구해왔으나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 한때 저가항공 허브공항 육성 등을 정부에 건의하기도 했지만 결실을 맺지 못했다.

항공기정비사업(MRO)도 뚜렷한 성과를 올리지 못하고 있다. 도는 민선4기부터 청주국제공항 활성화 차원의 항공산업으로 항공기정비센터 유치에 뛰어들었다. 국내는 물론 해외 유수기업을 대상으로 민자와 외자유치에 적극 나섰지만 수년째 답보상태다. 막대한 초기자본 투입과 항공기정비 수요가 적정수준에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MRO사업을 위한 민간자본 유치가 단시일내에 해결되기 어렵다는 전망이다.

충북의 핵심산업인 바이오의 중심이 될 오송의 첨단의료복합단지 임상시험병원 역할을 할 국립암센터 분원과 국립노화연구원 유치도 해를 넘기게 됐다.

지난 2009년 오송첨복단지 유치이후 시작된 국립암센터 분원 유치운동은 충청권 주민 100만명 서명부를 정부에 전달하는 등 강한 의지를 보였지만 성사시키지 못했다. 오송첨복단지 임상시험센터 역할을 할 대형병원 유치가 어려운 현실에서 최상의 대안으로 떠올랐던 국립암센터 분원 유치는 대구가 가세하면서 오송 입지가 크게 흔들렸다. 정부는 유치 경쟁이 가열되자 국립암센터 분원 설립을 유보하면서 현재까지 더 이상 진척이 없다.

오송 입지가 결정됐던 국립노화연구원 역시 지난 2007년 보건복지부가 부지까지 마련해놓고도 사업을 추진하지 못하고 있다. 부산, 광주가 유치를 주장하면서 국회에 계류중이던 관련법까지 18대에 자동폐기되기도 했다.

이후 기획재정부의 타당성 조사에서 경제성 낮음 평가가 나오면서 국립노화연구원 오송 건립에 비상이 걸렸다.

10여년이 넘도록 방치돼오고 있는 청주시 주중동 밀레니엄타운 역시 마땅한 개발계획조차 마련하지 못한 채 내년을 기약하게 됐다.

지역경제계 관계자는 “청주국제공항 활성화 관련 사업 등은 충북 입장에서는 이제 풀기 어려운 오랜 숙원사업이 됐다”며 “사업에 진척이 없다면 새로운 활로를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