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 동양교통 88대 무료환승 거부,노노갈등 조짐
그러나 청주시가 불법운행에 대해 미온적으로 대처하고 있어 시민들의 비난을 사고 있다.
◇ 거부운행 현실로…하루종일 혼란
청주교통과 동양교통 등 2개 회사 노조원들은 이날 청주시와 청원군, 증평군등 시계외 전역에서 단일요금제 대신 구간요금을 받았으며, 무료환승 단말기를 꺼놓는 방법으로 무료환승을 거부했다.
청주시에 따르면 이날 양 회사 소속 버스 101대중 88대가 ‘이 차량은 환승이 되지 않고 구간요금을 받는 버스입니다’ 라는 안내문을 버스앞에 부착하고 거부운행에 참여하고 있다.
이에따라 이날 일부 승객들은 구간요금을 내라는 기사들에게 항의를 하는가 하면, 탑승을 포기하는 경우도 발생하는 등 하루종일 혼란스런 상황이 벌어졌다.
청주시청에도 하루종일 승객들의 불만전화가 폭주했으며, 시는 직원 40명을 동원해 불법운행에 대한 채증작업을 벌였다.
일부 시내버스가 단일요금제 거부운행에 돌입하자 청주시 신상인 도시교통국장은 이날 오전 11시 청주시청 브리핑룸에서 담화문을 발표하고 “이용시민에게 혼란을 가중시키는 일부 업체는 요금 단일화 및 무료환승 거부 안내문을 모두 철거하고 시내버스를 정상운행해 달라”면서 “부당요금을 받는 것에 대해서는 강력한 행정조치를 하겠다”고 밝혔다.
◇ 청주시, 우왕좌왕 ‘끝이 안보인다’
그러나 청주시는 이날 불법운행에 대해 1대당 40만원에 해당하는 과징금을 언제 부과할지, 협상을 언제 끝낼지 명확하게 밝히지 않아 거부운행이 한동안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또 지난 6일부터 해당버스측이 청주시가 제시한 ‘무료환승비율 100% 적용’ 등에 대해 거부입장을 밝혔지만, 불법운행이 가시화될 때까지 별다른 역할을 하지 못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손실보전금 산정 과정도 논란거리다. 당초 102억원에서 71억원으로 1년새 31억원이나 삭감한 것이나, 삭감한 뒤에도 버스회사측과 추가로 협상을 벌여 ‘11월부터 무료환승 인정비율 100% 인정’,‘손실보전금 10억원 우선 입금후 정산’ 등을 제시하는 등 사실상 기존 용역결과와 다른 제안을 하기도 했다.
결국 내년부터는 71억원에 연간 무료환승 보조금 21억원을 추가지급하게 되는데도 업체측을 설득하지 못했다. 결국 시가 정책의 일관성을 잃는 바람에 이 같은 사태를 불러왔다는 지적을 피할 수 없게 됐다.
◇ “보조금 떼쓰기” 주장도
동양교통 등 노조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2013년 실시한 용역은 공정과 균형의 역할이 전면배제된 편법적인 수단으로써 오로지 재정 지원금을 감액하기 위한 청주시의 기획용역”이라고 주장했다.
또 “독단적인 용역결과 시행은 전형적인 갑의 횡포로 대중교통을 육성하고 이용을 촉진할 의무를 상실하고 환승과 요금단일화에서 역기능을 하는 것”이라고 이유를 밝혔다. 이들은 손실보전금 102억원 지급, 무료환승 인정비율 소급적용을 요구를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일부 다른 시내버스 회사의 입장은 다르다. 이날 우진교통 측은 보도자료를 통해 “시내버스 공공성 강화 정책에 역행하는 악성민원은 근절되어야 한다”면서 “근거없는 보조금 떼쓰기하는 일부 시내버스 조합원들의 구시대적 발상으로 시내버스업계에서 몰아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우진교통은 또 “청주시는 이럴 때일수록 악성민원에 휘둘리지 않고 원칙을 지켜 시민의 세금을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