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민기 충발연 연구위원 "생색내기용…효과없어"

사상 최악의 폭염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취약계층에 대한 실효성 있는 폭염대책이 필요하다는 연구보고서가 발표돼 관심을 모으고 있다.

최근 충북지역에 온열환자가 30여명 발생하고 사상 최대의 열대야가 발생하는 등 폭염이 심각한 상태다.

이런 폭염과 관련, 충북발전연구원 배민기 연구위원(공간정책연구부)은 최근 발표한 ‘소리없는 살인자 폭염, 충청북도 폭염대책 강화가 필요하다’라는 연구보고서에서 폭염에 따른 취약계층 보호 등을 위해 선진국의 사례를 벤치마킹하는 등 근본적인 폭염대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배 연구위원은 휴일이나 열대야가 기승을 부리는 야간에 개방하지 않는 공공기관 등에 있는 무더위 심터는 실효성이 낮고 농산촌의 경우 현재의 의료 및 감시체계로는 폭염피해를 과소평가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에 따라 배 연구위원은 외국의 사례를 활용한 폭염대책을 주문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캐나다 토론토는 지난 2001년 고온건강경고시스템(Heat Health Alert System)을 개발해 노인·어린이 등 폭염에 가장 취약한 계층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로 활용하고 있다. 이 시스템은 기온에 따라 고온경보를 발령하고 발령때마다 역할과 대응책을 구체화하고 있다.

미국 필라델피아는 고온 관련 정보를 24시간 제공하고 의료관련 상담을 제공하는 간호사들로 구성된 ‘히트라인(Heat Line)’을 운영하고 있으며 보스턴은 동네 자원봉사자들이 취약계층을 모니터링하면서 이웃의 안전을 살피는 5000여개의 ‘블럭캡틴(Block Captain)’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배 연구위원은 우리나라도 폭염관련 데이터베이스 및 감시체계를 구축해 65세 이상 노인의 주거현황 및 지역내 실외작업 유형 등 폭염 피해와 관련한 정보를 구축하고 각 시·군 자체의 폭염적응 종합대책이 수립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여름철에는 폭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전방위 특별팀을 구성해 필요한 조치를 취하고 독거노인 등 취약계층을 위한 사회복지 유관기관간의 연계활동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주거환경이 열악한 취약계층 주민이 건강과 생명에 위협을 받기 때문에 혹서기로 건강을 위협받는 저소득 가구에게 쿨매트 등 폭염 대비 물품과 전기료를 지원하고 재난도우미를 운영해 가정방문 등 직접적으로 노약자의 안부를 확인하는 활동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