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의회 상임위 통과 … 본회의 처리 무난할 듯
다만 경기불황국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국내외 상황에서 민자유치를 올 연말까지 이끌어낼지가 관건이다.
청주시의회는 24일 도시건설위원회를 열고 ‘오송역세권 도시개발사업 출자 동의안’을 원안대로 가결 처리했다. 28일 열리는 본회의에서 변수가 없는 한 현물과 현금 250억원 출자 내용의 동의안 처리가 무난할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청원군도 같은 규모의 출자를 확정하면서 충북도가 구상한 부분공영개발 방식의 오송역세권 개발사업 추진이 가능해졌다.
도는 출자기관인 충북개발공사를 통해 청주시와 청원군의 출자액 500억원을 바탕으로 1600억원의 지방공채를 발행할 예정이다. 전체 사업비 3100억원 가운데 나머지 비용은 도가 올 연말까지 민간자본 유치로 해결해야 한다.
하지만 부분공영개발에 따른 지자체 출자 문제 만큼이나 민자유치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오송역세권 개발사업이 민자유치로 추진되면서 진척을 보지 못했던 것에 비해 3개 지자체가 참여하는 부분공영개발 방식 도입으로 민간자본 유치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문제는 올 연말까지 민간사업을 찾아야 하지만 여전히 경기불황국면이 걸림돌이다.
지역경제계 관계자는 “공영개발방식 도입으로 민간자본 규모가 줄어들어 애초보다 기업유치 환경이 좋아지기는 했으나 불확실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고 밝혔다. 기업들의 투자환경이 호전되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민자유치에 부정적인 시각이 있다.
반면에 도는 투자여건이 성숙된 만큼 민자유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보고 있다.
도 관계자는 “청원군에 이어 청주시가 출자하기로 한 만큼 오송역세권개발사업에 큰 힘이 될 것”이라며 “부분공영개발방식 도입으로 투자여건이 성숙돼 민간자본 유치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투자자의 눈높이에 맞춰 수익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며 “청주시, 청원군과 힘을 모아 민자유치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지난달까지 2차에 걸친 민간사업자 유치에 나선 충북도는 부분공영방식 도입이후 국내외 민간기업을 대상으로 투자의사를 타진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오송역세권 개발사업에 관심을 보이고 있는 미국 캐피탈사가 지난달 3억5000달러를 투자신고하면서 외자유치 기대감을 높였으나 도는 신중한 입장이다.
투자신고는 외국업체가 우리나라에 투자할 때 외국환은행이나 코트라(KOTR A) 등에 미리 신고하는 절차다. 양해각서(MOU)보다 구속력에서 한 단계 위에 있으나 실제 투자로 이루어질지는 미지수다.
도는 LH(한국토지주택공사)에도 ‘러브콜’을 보내고 있으나 실현 가능성은 낮다.
도는 다음달 초 ‘오송역세권 개발계획 연구용역’ 발주와 함께 사업설명회를 열어 투자자를 모집할 계획이다. 용역과제는 국내외 역세권개발사업의 성공·실패사례 수집, 수요조사, 사업성 분석 등이다.
용역 결과물이 나오면 도는 연말까지 개발계획을 세워 고시할 예정이다.
2005년 10월 오송신도시 기본계획을 수립할 당시 역세권 개발사업을 입안한 도는 2011년 12월 KTX오송역 일대를 도시개발예정지구로 지정했다.
두 차례 민간투자자 유치에 실패한 도는 충북개발공사와 청주시, 청원군, 건설사가 사업비를 분담하는‘부분 공영개발’ 방식으로 선회했다.
도시개발구역을 지정한 날(2011년 12월30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는 올해 12월말까지 사업시행자 선정, 개발계획 수립·고시가 이뤄지지 않으면 역세권 지구지정은 자동해제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