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비 '올리고' 합차비 '뜯고' 단체행동 '막고'

최근 사회적 약자에 대한 이른바 ‘갑의 횡포’가 논란이 되는 가운데 청주지역 대리운전 업계도 일방적인 경영을 이어가는 것으로 드러났다. 업계에 따르면 최근 청주지역 대리운전 콜센터 업체들은 시외지역 ‘콜비(콜센터가 기사에게 요금의 일부를 징수하는 것)’ 인상을 시도하고 있다.

현재 청주시내 콜비는 요금의 30%로 책정돼 있고, 시외지역의 경우 복귀하는 교통비 등을 감안해 15%의 콜비를 걷어들이고 있다. 시내에서 만원의 요금을 받았다면 3000원을, 시외지역이라면 1500원을 각각 기사가 콜센터에 납부해야 하는 상황이다.

하지만 콜센터 업체가 최근 시외지역 콜비를 20%까지 인상하려 한다는 것이 기사들의 말이다. 여기에 합차비(대리 운전 기사들이 공동 이용하는 차량 이용료), 출퇴근 지원비 등을 더할 경우 사실상 요금의 절반 가까이를 콜센터에 납부해야 한다.

대리운전 기사들의 몫이 그만큼 줄어드는 것이다.

게다가 시외지역은 적은 콜비 탓에 여러 불편을 감수하고 운행해 왔으나, 콜비 인상이 단행될 경우 시외지역 대리운전 이용이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콜센터의 일방적인 콜비 인상에 기사들이 반발하지 못하는 이유는 이를 제재할 방도가 없기 때문이다.

청주지역엔 약 500여명의 대리운전 기사가 활동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지만, 현재 노동조합 등 단체행동은 하지 못하고 있다. 반면 대리운전 업체들은 개별적으로 운영하던 콜센터를 하나 둘 통합, 13개 업체가 단일 콜센터 운영을 하고 있다.

업체는 한 데 뭉치고 기사들은 따로 따로 흩어지다보니 콜비, 보험료 인상 등 일방적 경영에 대응조차 못하고 있는 것이다.

대리운전 기사가 특정 목적지를 기피할 경우 콜센터에 무는 벌금도 전에는 대신 운행에 나간 기사에게 돌아갔지만, 현재는 고스란히 콜센터에서 징수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이같은 일방 경영에 제동을 걸기 위해 일부 기사들이 모임을 결성하고 있지만 참여율은 저조한 상태다.

청주대리기사협회 관계자는 “일부 기사들이 노조를 결성하려는 움직임도 있었지만 콜센터에서 배차를 주지 않는 식으로 대놓고 탄압을 했다”며 “현재로선 콜비, 보험료 인상 등 업체의 일방적인 횡포를 막을 도리가 없다”고 토로했다.

이어 “영업등록도 서비스업으로 하기 때문에 정부나 지자체에서도 기습 요금인상 등에 전혀 손을 쓰지 못하고 있다”며 “세금도 내지 않는 등 사실상 콜센터만의 돈잔치를 하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