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군에서 51% - 충북도 민간 49% 맡아 추진키로
이시종 충북도지사는 22일 긴급기자회견을 열고 “역세권 개발사업에 필요한 사업비의 공공부문 51%는 청주시와 청원군이, 나머지 민간부문 49%는 충북도가 책임지겠다”고 밝혔다.
전체 사업비 3102억원 가운데 청주시와 청원군이 1582억을 분담하고 1520억원은 도가 민간자본을 유치하는 ‘부분 공영개발’방식으로 추진하겠다는 것이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이종윤 청원군수, 박수범 대책위원장을 비롯한 주민대표, 박문희 충북도의원 등이 배석했다.
이 지사는 “100% 사업자 확정시한은 12월 29일까지로 하고, 확정하지 못하면 즉각 도시개발구역을 해제하겠다”며 “다만 청주시와 청원군이 분담하는 지분은 해당 지자체 의회의 의결을 거쳐 확정한 후 공문 처리한다”고 밝혔다.
주민들도 이러한 개발방안에 동의했다. 박수범 역세권대책위원회 위원장은 “오송역세권 주민들은 역세권 도시개발사업이 원활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민자유치 공동 노력, 시위, 집회 철회 등 투자분위기를 조성하고 대토보상, 채권보상 등 현실적인 사업 추진방안 강구 등에 최대한 협조하겠다”고 말했다.
도와 개발공사·청주시·청원군·역세권 주민 대표자는 “앞으로 진행될 사업추진계획은 주민대표와 전문가, 관계기관 공무원 등이 참여하는 협의체를 통해 추진하겠다”고 합의했다.
충북개발공사는 다음 달부터 역세권 개발사업 예정지에 대한 도시개발계획을 수립하는 절차를 진행하기로 했다.
도시개발계획수립은 청주시와 청원군의 현물출자, 시·군의회 승인과 민간투자를 유치하는 것을 가상하고 행정절차를 밟는다는 의미다.
충북도 등이 어렵사리 부분 공영개발방식의 오송역세권 개발사업 계속 추진을 이끌어냈지만 풀어야 할 과제가 남아있다.
먼저 청주시와 청원군의 500억원 현금·현물 출자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이종윤 군수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출자의사를 공식 밝혔다. 그러나 청주시는 결론을 내지 못했고 시의회가 긍정적이지 못하다.
한 시장은 기자회견에 참여하려 했으나 시의회가 신중한 태도를 보이는데 지난주 청주태크노폴리스 의무부담 동의안이 본회의에서 부결되면서 부담을 느낀 것 아니냐는 분석이다. 시의회 승인과정에서 험로가 예상되는 대목이다.
부동산 경기 불황에 따른 민간자본 유치도 문제다. 2차에 걸친 민간투자자 모집에서 공영개발이 빠졌지만 이번에는 부분공영개발이 51%로 민간자본 유치에 유리할 것으로 도는 보고 있다.
앞서 도는 지난 8일 “마지막으로 최선을 다하되, 4월 중에는 어떤 식으로든 결론내겠다”는 취지의 공식입장을 발표했다. 당시 20여일 안에 없던 민간 투자자가 나타날 가능성이 적고, 충북개발공사·청주시·청원군도 재정이 넉넉지 않아 사실상 포기하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우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