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법찾기 고심 끝 "이달중 결론" 공십입장

KTX오송역세권 개발 사업 해법찾기에 고심하던 충북도가 사업을 포기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보인다.

도는 8일 배포한 ‘오송역세권도시개발사업 관련 충북도의 입장’이라는 제목의 자료에서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하고 4월 중에 어떤식이든 결론을 내겠다”는 공식입장을 밝혔다.

도는 “그동안 역세권 도시개발사업 추진을 위해 환지개발방식 검토, 2차에 걸친 민자유치 공모 등 최선의 노력을 기울였다”며 “그러나 최근 부동산 경기 침체, 용산역세권 개발사업 위기 등으로 민자유치에 실패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현 상태에서는 더 이상 다른 수단을 찾기 어렵고, 시간적 여유가 촉박하며, 주민 재산권 행사를 계속 제한하는데에도 한계에 이르렀다고 판단된다”며 “공공성과 주민재산권 보호를 고려해 모든 가능성을 열어둔 상태에서 마지막으로 최선을 다해 검토하고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도는 “올 12월 29일까지 개발계획을 수립 고시하지 못하면 오송역세권 도시개발구역 지정이 자동 해제되고, 오송역세권주민대책위원회가 4월말까지 민간유치가 어려우면 즉시 도시개발구역 지정을 해제하라고 건의한 점을 고려해 4월 중에는 결론을 내겠다”고 덧붙였다.

2차에 걸친 민자유치 공모에 실패하면서 포기 가능성이 나온 상황에서 도의 공식입장은 오송역세권 개발사업 포기 쪽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올 연말까지 개발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이달 중에 민간참여업체가 나타나야 하지만 20여일 밖에 남지않은 상황에서 시간적 여유가 없다. 그렇다고 협의가 진행되고 있는 민간투자업체가 있는 것도 아니다. 충북개발공사, 청주시, 청원군도 재정이 여의치 않아 공영개발도 무리가 따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도가 이달 중에 결론을 내겠다는 공식 입장을 밝히자 사실상 포기수순을 밟고 있는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설문식 경제부지사는 “다른 수단을 찾기에는 시간적 여유가 없다. 주민 재산권 제한에도 한계가 있다”며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해보겠다”고 밝혔다.

설 부지사는 “사업에 관심을 갖는 사업자가 있느냐”는 질문에 답변을 하지 못하면서 민자유치 문제가 풀기 어려운 상황에 봉착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다.

2005년 10월 오송신도시 기본계획을 수립할 당시 역세권 개발사업을 입안한 도는 2011년 12월 KTX오송역 일대를 도시개발예정지구로 지정했다.

민간자본 유치에 실패한 도는 충북개발공사와 청주시, 청원군이 사업비의 51%(1582억원)를 부담하고 나머지 49%(1520억원)는 건설사가 대도록 하는 ‘부분 공영개발’ 방식을 검토했지만 투자자가 나타나지 않고 청주시·청원군의 반응도 시원치 않아 고민에 빠졌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