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행중단 철회 불구 자가용·비상수송차량 몰려 혼잡
충북 버스운송사업조합은 22일 오전 6시 30분부터 시외버스 운행을 재개하고, 이어 오전 7시 30분부터 시내버스도 정상 운행했다.
또 ‘도민여러분께 드리는 말씀’이라는 사과문을 작성해 배포하는 등 시민 불편 최소화를 위해 노력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출근길에 오른 시민들은 큰 불편을 겪었고, 버스업계의 이번 운행 중단에 대해 비난의 목소리를 높혔다.
운행 재개 소식을 뒤늦게 접한 시민들이 승용차를 대거 몰고 나온 데다, 택시부제가 해제돼 청주·청원·충주·제천지역에만 평소보다 1502대의 택시가 증차 운행했기 때문이다.
여기에 지자체가 비상수송대책으로 마련한 전세버스·지자체 관용버스도 318대에 달했고, 뒤늦게 운행에 나선 시내버스들이 한꺼번에 차고지에서 나오면서 청주시 주요도로는 그야말로 아수라장이 됐다.
시민들은 어느 버스를 타야할 지 몰라 우왕좌왕 했고, 대목을 노렸던 택시들은 서로 승객을 잡기 위해 도로 이곳저곳을 내달렸다.
버스업계의 갑작스런 운행 재개 선언으로 비상수송대책도 정상 가동되지 못하면서, 직장인·학생들이 평소보다 20~30여분 지각하는 사태가 속출했다.
이같은 상황은 이날 오전 내내 계속됐다.
대학생 주모씨(22·여)는 “전날 비상수송대책으로 알아본 전세버스가 사람들로 꽉 차 학교로 오는 내내 불편했다”며 “나보다 늦게 출발한 친구들은 텅 빈 시내버스를 타고 여유있게 왔다고 말해 황당했다”고 밝혔다.
직장인 차모씨(32)는 “자신들의 주장을 관철하기 위해 시민을 볼모로 삼은 것은 이해할 수 없는 행동”이라며 “여론이 불리해지자 뒤늦게 운행 재개에 나선 것 같아 진정성이 느껴지지 않는다”고 목소리를 높혔다.
택시의 대중교통 포함을 반대하는 버스업계의 강력한 반발에 정치권은 한 발 물러섰지만, 직접 불편을 겪은 시민들의 의견은 다양하게 갈려 향후 여론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국회는 이날 오전 11시 30분쯤 이른바 택시법(대중교통 육성 및 이용 촉진에 관한 법률) 개정안의 본회의 상정을 보류하고 정부에 택시와 버스가 상생할 수 있는 대책을 주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