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시법 반발…충북에선 1189 운행 중단

버스업계가 22일 0시부터 사상 초유의 전면 운행 중단에 돌입하면서 지역주민들이 큰 불편을 겪게 됐다.

전국버스운송사업조합 충북지부(이하 충북지부)는 이날부터 시내·농어촌 버스 720대, 시외버스 ·469대 등 모두 1189대가 총파업에 동참한다고 밝혔다. 이는 전국버스운송사업조합 연합회(이하 연합회)가 전날 전국 4만8000여대의 버스가 참여하는 무기한 총파업 선언을 한 데 따른 것이다.

앞서 연합회는 국회 법사위에서 택시를 대중교통에 포함하는 내용의 이른바 ‘택시법(대중교통의 육성 및 이용촉진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통과시키자 이에 반발하며 운행중단 방침을 확정했다.

충북지부에서도 모든 버스가 운행 중단에 동참하면서 출·퇴근길 교통대란 등 시민들의 큰 불편이 예상된다.

불과 하루 전에야 운행 중단 확정 소식을 전해들은 시민들은 저마다 자구책 마련에 분주했다.

황모씨(62·여)는 “사는 곳이 시 외곽지역이라 버스마저 들어오지 않으면 나올 방법이 없다”며 “매일 병원에서 치료를 받아야 하는데 어떡하느냐”고 답답해 했다.

대학생 이모씨(24)도 “통학길에 버스만 이용해 왔는데 어쩔 수 없이 택시를 이용해야 할 것 같다”며 “청주는 지하철도 없는데 너무 무책임한 행동인 것 같다”고 말했다.

특히 농어촌·시외 이동은 이마저도 부족한 상황이다.

버스 운행 중단 첫 날인 22일은 충북대학교·공주대학교 등 각 대학 수시2차 면접일인만큼 이로 인한 수험생들의 불편이 극심할 것으로 보인다. 이들 대학들은 버스운행 전면 중단에 따라 수험생들이 면접에 차질을 빚지 않도록 안내 문자메시지를 각 수험생들에게 보내는 등 대책마련에 들어갔다.

타 지역으로 출퇴근 하는 직장인들도 기차 등 다른 이동수단 이용이 불가피 해졌다.

버스업계의 총파업으로 시민 불편이 우려되자 각 지자체들은 즉각 비상수송대책 마련에 나섰다.

충북도는 시내버스·농어촌버스 노선에 전세버스 280대와 지자체 관용버스 38대 등 모두 318대의 버스를 투입해 운행한다.

청주시, 충주시, 제천시, 청원군의 경우 기존 시행하던 택시부제를 해제해 1502대 늘어난 5694대를 운행할 예정이다. 또 버스업계가 파업을 철회하기 전까지 9인승 이상 승합차도 차주가 원할 경우 ‘유상운송허가’를 해줄 방침이다.

충북교육청은 도내 각급학교에 등·하교시간을 탄력적으로 운영토록 지시했다.

대전시는 하루 240회인 도시철도 운행을 290회로 늘리고 노선별로 300대의 전세버스와 50대의 공공기관 버스를 투입할 계획이다. 이와함께 안내공무원을 배치하고 24시간 비상수송대책본부를 가동하는 등 시민불편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이처럼 지자체와 시민들이 혼란을 겪고 있지만 버스업계는 택시법 개정안 철회 때까지는 무기한 운행 중단을 강행한다는 입장에 있어 지역주민들의 불편이 장기화될 가능성이 있다.

충북지부 관계자는 “전국적으로 버스 노사가 모두 동참하는 사안이라 충북에서만 예외일 순 없다”며 “불편을 최소화 하기 위해 각 버스회사별로 안내문 배포 등 행동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전국버스운송사업조합연합회가 버스 운행중단을 선언한 가운데 21일 청주시내버스(왼쪽)와 시외버스가 차고지에 줄지어 서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