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송료 30% 인상·표준운임제 법제화 등 요구
이에 따라 화물연대 충북·강원지부 청주지회도 이날 오전 7시 청주역 앞에서 출정식을 갖고 파업에 들어갔다.
이들은 생존을 위한 파업이라며, 운송료 30% 인상, 표준운임제 법제화, 화물운송관련법 전면 재개정, 산재보험 전면 적용 등을 요구했다.
이들은 출정식에서 "치솟는 기름값에 일할수록 적자폭만 커지고 있으나 표준운임제를 법제화하겠다고 한 정부는 계속 미루기만 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특수고용제도로 인해 화물·건설 노동자들은 엄청난 생활고를 겪고 있다"며 "10년 넘게 특수고용 노동3권을 보장하라고 외치고 있지만 정부는 전혀 움직이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번 화물연대의 파업으로 도내 물류운송은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특히 제천·단양의 경우 시멘트 운송에 투입되고 있는 전체 벌크 시멘트 트레일러(BCT)의 절반 가량이 멈출 수 있어 파업이 장기화될 경우 큰 타격을 받을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 충북도는 시·군별로 철도 운송 확대와 대체 차량 확보 등 대책마련에 나서는가 하면 한국무역엽회 충북지역본부는 비상대책반을 파업이 끝날때까지 운영하고 충북지방경찰청도 도내 60여 곳에 200여명의 경력을 배치해 운송보호에 나서고 있다.
한편 화물연대 총파업과 관련, 정부는 이날 오후 2시 대국민담화를 발표하고 "화물연대 총파업은 무리한 요구사항을 관철하기 위해 국가물류를 볼모로 잡은 행동"이라면서 "파업 초기부터 법과 원칙에 따라 강경하게 대응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또 이와 동시에 대화 창구를 지속적으로 열어 물류 운송에 큰 차질이 생기지 않도록 노력하겠다는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