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학진 민족문제연구소 사무국장 “정치적 의도 없어도 악용될 소지 있어”
“기본적으로 역사 인물을 두고 영화를 만드는 것에 대해서는 반대 할 것이 없다. 문제는 영화제작에 의도가 있느냐 그렇지 않느냐에 있다. 상식적인 판단으로 본다면 지금 이 시점에서 고(故) 육영수 여사의 일대기에 관한 영화를 제작하고 상영하는 것은 12월에 있을 대통령 선거에 분명 영향을 미칠 것이다.”
방학진 민족문제연구소 사무국장은 19일 <충청리뷰>와 전화 통화에서, 박정희 전 대통령과 육영수 여사의 사랑을 그린 멜로영화 <퍼스트레이디-그녀에게> 제작에 대해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그러면서 그는 “영화가 완성되면 안 봐도 뻔하겠지만 박 전 대통령에 대한 향수를 주고 대선에 영향을 줄 것이다. 대통령 후보자의 자질 검증으로 치러지는 선거가 아니라 박 전 대통령의 후광 효과를 노린 선거로 전락할 것”이라며 “국민들의 객관적 판단을 벗어나려고 하는 의도로 의심 받을 수 있다. 영화제작사의 의도와는 무관하게 악용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 영화제작사 (주)드라마뱅크쪽은 정치적 목적 없이 박 전 대통령과 육 여사의 러브스토리를 영화에 담는 것일 뿐이라는 입장이다.
이에 대해 방 국장은 “근현대사 바탕으로 하는 것은 역사영화는 사실관계가 명확해야 한다. 고구려 광개토대왕등 현 시대가 아닌 고대 시대에 대해서는 작가적 상상력이 풍부해야 하지만 근현대사는 지금도 살아있는 이들을 위해 조심스럽게 접근해야 한다”면서 “그들 가운데 유신의 폭압으로 인해 희망당한 이들의 정서와 피눈물도 생각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또 “멜로영화를 만드는 것도 좋지만 그런 이유라면 친일 이완용과 5.18 광주사태로 무고한 광주시민들을 학살한 것으로 지목되고 있는 전두환 전 대통령의 멜로영화도 가능하다”면서 “비록 육 여사가 청와대에서 야당 역할을 했다고 하지만 자칫하다간 유신독재의 본질을 흐릴 수 있는 방향으로 갈 수 있다”고 말했다.
대다수 국민들이 역사적 평가에 대해서 아직도 시시비비가 가려지는 않은 인물에 대해서는 영화제작에 있어서 신중을 기할 것을 당부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방 국장은 영화나 드라마제작과 관련된 지방자치단체들의 무분별한 지원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그는 “모든 지자체의 지원 시발점은 관광 자원화와 지역경제 활성화에 있다. 이 두 가지에 모든 논리를 집어 넣는다. 그런 이유로 만들어진 것이 전북 고창의 미당문학관과 군산의 채만식 문학관 등”이라면서 “지자체의 경제를 늘리를 위해서 역사를 왜곡하거나 타협하는 논리는 있을 수 없다”고 안타까워 했다.
이어 “지역경제 활성화 등을 이유로 문제 없다는 생각을 가진 공무원들의 국가관이 의심스럽다"며 "거꾸로 나라를 위해 값지게 희생한 독립유공자 등을 찾아내어 관광 활성화를 하는 일에 노력을 기울여야 할 일”이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