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역 최종보고회 활성화 방안 3대 부문 9개 추진과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 천안 기능지구 활성화를 위한 방안이 확정됐다.

천안시의 용역을 맡은 충남테크노파크는 2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과학벨트 기능지구 발전전략수립 용역 최종보고회를 갖고 과학벨트 천안기능지구 활성화를 위한 3대 부문(목표) 9대 추진과제를 제시했다.

3대 부문은 공동R&D(연구·개발) 원천기술 사업화 인력양성 등이며, 9대 추진과제로는 SB(Science-Biz,과학 비즈니스)플라자 구축 과학기술 Society 운영사업 과학기술 포럼 운영사업 기술이전 플랫폼 운영사업 기술이전 비즈니스 운영사업 Science&Information(과학 정보화) 테마파크 사업 전문인력 양성사업 기술이전 플래너(Planner) 양성사업 과학-비즈니스 융합전문가(PSM) 양성사업 등을 제시했다.

기능지구 활성화를 위한 지원전략으로는 국제비즈니스 환경구축 정주·문화 환경 구축 연구개발 및 사업화 생태계 조성 인프라 지원 등을 내놓았다.

기능 지구의 핵심 역할을 담당할 SB플라자는 천안시가 용지를 제공하고 건축에 필요한 약 400억원 이상을 국비, 도비로 지원받아 2016년까지 건립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SB플라자에는 천안 지역 4개 특화산업 분야인 디스플레이 영상미디어 신에너지 나노 응용부품 및 소재 메디 바이오 연구시설 등을 집적화하는 방안이 제시됐으며, 이들 시설은 공동 R&D·인력양성·창업지원 프로그램 등을 수행하게 된다.

충남테크노파크는 또 4개 특화산업 분야와 관련해 기초과학연구원 연구단, 국책 연구원 분원 등의 유치가 필요하다고 밝히고 충청권 3개 시·도 공조, 관련기관 협약 등을 통해 유치에 나서야한다고 지적했다.

또 기능지구 활성화를 위해 과학벨트 특별법을 개정해야한다고 덧붙였다. 기능지구 혜택이 거점지구에 비해 미흡하고 거점지구 연구결과의 사업화가 과학벨트 성공의 열쇠라는 점에서 특별법 개정 필요성을 강조했다.

현행 특별법에 '과학벨트 기능지구'가 응용개발 및 사업화 수행에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명문화하고 기능지구 특성에 적합한 연구단 일부를 배치하는 것으로 개정해야한다는 지적이다.

과학벨트에는 2017년까지 거점지구에 4조8660억원, 3개 기능지구에 3040억원이 투입된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