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 광고예산 8000만원 편성…시민사회단체 “전액삭감” 요구
道 관계자 “확정된 사안 아냐 … 지역이익 고려해 판단할 것”

▲ 지난 12일 예산결산특별위원회가 열리고 있는 충북도의회 앞에서 지역 시민사회단체 관계자들이 기자회견을 열고 종편 광고 예산 전액삭감을 요구했다.

충청북도가 지난 1일 개국한 종합편성채널(이하 종편)에 광고예산을 배정한 것으로 알려지자 지역 언론겱첫灌報섟?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지난 8일 충북민언련은 성명을 발표하고 조중동매 종편 예산 편성 부당함과 이를 즉각 철회할 것을 요구했다.

충북민언련은 성명서에서 “조중동매 종편은 지역에는 재앙이나 다름없다. 지역언론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마당에 충북도가 아무런 근거 없이 조중동매 종편에 예산을 준다는 것은 지역주민들의 혈세로 지역을 죽이는 꼴이나 마찬가지다”라고 밝혔다. 또한 “조중동은 지역의제를 철저히 외면해왔고 수도권 중심의 논리를 펴온 대표적 언론사들이다. 특히 충북지역은 뼈아픈 경험을 했다. 신행정수도, 과학벨트 논란을 조중동이 어떻게 다루었는지를 벌써 잊었는가”라고 일갈했다.

충북도는 종편 4개 채널(TV조선, 채널A, jTBC, MBN)에 각각 2000만원에 달하는 홍보예산을 편성했으며 이에 언론겱첫貫英릿報섦?지난 12일 예산결산특별위원회(이하 예결위)가 예정된 도의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지역언론 다 죽이는 조중동매 종편에 주민 혈세 지원은 부당하다”며 종편광고예산의 전액삭감을 요구하고 나섰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종편 관련 광고예산은 아직 ‘안’일 뿐이며 확정된 것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광고 압력 없었다”

충청북도에 따르면 내년도 ‘도민과 함께하는 소통과 공감의 도정 홍보 정책사업’이란 정책사업명 아래 언론홍보강화를 꾀하고 있다. 이를 통해 충북의 대내외적인 위상을 제고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종편의 모회사라고 할 수 있는 조선일보와 중앙일보, 동아일보의 경우 행정수도이전과 세종시, 과학벨트 등 충북도 이익과 관련된 사안에 대해서 시종일관 대척점에 서 있는 입장을 취해왔다. 또한 충북도 관계자에 따르면 해당 종편들은 도에 광고요구를 요구한바 없다고 밝혔다. 충북도가 알아서 지역 이익에 반하는 입장을 취해왔던 언론사가 만든 종편에 광고를 주겠다는 것이다.

도는 내년도 공중파 광고예산에 2억4천만 원을 배정했으며 종편을 포함한 기타 케이블채널에 총 1억8천만원을 배정했다. 당초 지역 언론겱첫灌報섟?문제를 제기하고 있는 종편에는 각각 3천만원 씩 총 1억2천천만원의 광고예산을 편성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충북도 공보관실은 사별 2천만원이라고 정정했다.

종편을 제외한 다른 케이블방송사 홍보 예산은 1억원이며 CBS와 MTN, YTN 등을 통해 집행 될 예정이다. 언론사에 따라 500만원에서 1000만원 등으로 다르게 책정됐다. 매년 배정되던 공중파 3사 홍보예산과 마찬가지로 케이블채널 홍보예산은 ‘공중파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금액에 적지 않은 홍보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도의 판단 아래 매해 예산이 편성 돼 왔다. MBN의 경우 종편 출범 전인 뉴스전문채널시절부터 예산이 배정되어 왔다고 밝혔다.

지난 12일 오전 9시 30분, 도의회 앞에는 충북민언련과 충북시민단체연대회의, 충북언론노조협의회, 통합진보당 충북도당 등 언론시민사회단체들이 모여 기자회견을 열었다. 도의회 앞에 모인 이들은 조중동매 종편 출연에 따른 지역방송과 지역신문, 종교방송 등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기자회견문에서 이들은 “지난 12월1일 방송을 시작한 조중동매 종편의 수준은 그야말로 눈뜨고 봐주기 어려울 정도라는 게 전문가와 시청자들의 평가다. 정파성을 노골적으로 드러내고 있으며 선정적인 보도로 뉴스의 ABC도 모르는 게 아니냐는 비판까지 받고 있다. 무엇보다 시청률이 채 1%가 되지 않는다. 이런 방송에 광고를 한다 한들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지 의문이다”라고 밝혔다.

“조중동매에 혈세, 절대 안 돼”

이어 “조중동매 종편이 우리 지역의 여론을 얼마나 제대로 대변할지도 미지수다. 조중동 등 보수신문들이 이명박 정부와 한나라당을 대변하느라 지역의 여론과 이해관계를 무시해왔던 걸 우리는 잘 알고 있다. 이런 신문이 만드는 방송이라고 다르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기자회견이 끝난 후 참석한 이들은 예결위가 열리는 충북도의회 심의실로 이동해 “충북도 종편 지원 지역언론 죽는다” 등 문구가 적힌 팻말을 들고 한동안 항의시위를 벌였다.

이에 대해 충북도 관계자는 “종편을 통한 광고계획은 확정된 사안이 아니며 집행내용은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고 밝혔다. 도 관계자는 “공중파를 통해 도 홍보 광고를 해왔듯 주요 케이블채널에서도 광고를 지속적으로 집행해 왔다. 그러던 중 새로 케이블채널이 생겨 광고여부를 고려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또한 충북도는 종편이 개국하기 7개월 전인 지난 5월 추경예산 당시에도 종편에 광고 예산을 각 2000만원 씩 세웠다. 종편 개국 후 예산을 집행하려 했지만 현재는 보류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들 종편이 지난 1일 개국 후 시청률이 1%에 미치지 못하는 등 기대했던 홍보효과를 거둘지에 대해 장담할 수 없기 때문이다. 도 관계자는 “앞으로 다른 매체와의 형평성, 매체효과를 고려하면서 최대한 충북도의 이익이 생각해 광고여부를 고려할 것”이라고 모호한 입장을 밝혔다.

매체효과에 따라 광고집행을 할 수도 있고 안할 수도 있다는 것일까. 이에 대해 이수희 충북민언련 사무국장은 “중요한 것은 종편광고 예산을 편성한 것 자체가 문제가 있다. 종편은 만들어진 과정이나 개국 이후에도 많은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는 상황이다. 충북도가 광고예산 편성에 대한 명확한 기준 없이 단순히 새 매체가 생겼으니 새 매체에도 광고예산을 세워야 한다는 편의적인 발상이 우려스럽다”고 전했다. 이 사무국장은 “조중동매의 매체성격이 어떠한가. 지역이익과는 관계가 없는 곳이다. 이러한 매체에 자치단체가 예산을 세워 광고를 한다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