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피콜 확대운영․장애인 고용확대 위한 협력 필요“
“충북, 고령화 속도 빨라…정신상담기관 설립돼야”

좌담회는 충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이자 충북자원봉사센터 센터장을 맡고 있는 한규량교수의 사회로 진행됐다.
김종필 도의회 산업경제위원회 의원은 이날 좌담회에서 임산부 운전자 주차편의를 위한 주차시설 확대 및 주차면적 확대의 필요성을 지적했다. 김의원은 “한국사회가 고령화 사회로 진입함에 따라 저출산 현상이 사회적 문제로 떠올랐다”고 강조하면서 “이는 인구감소와 경제활동 자원의 감소로 장기적으로 볼 때 국가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김의원은 임산부 운전자를 위한 정책을 전개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장애인 편의를 위해 회의장에서 휠체어 공간 조성이 필요함을 역설했고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들의 편의를 위해 비가림 주차시설 설치를 건의했다. 김의원은 “신관 뒤편에 비가림 시설이 일부 있으나 자전거와 일반 차량들이 주차돼 있다”면서 이를 “장애인들이 활용할수 있어야 이들의 이동불편을 덜어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규량 충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노인종합상담센터 설립’과 ‘장애인 특기학교 설립’, ‘공공장소 및 시장등지에 전동보장구 전용도로와 주차시설 구비’를 건의했다. 한교수는 “고령인구의 증가로 심각한 노인문제가 예상된다”며 “우리나라 전체로 볼 때는 2000년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었지만 충북은 이미 1990년에 접어들었다”고 강조했다. 또한 한교수는 “내년에는 고령사회로 접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2018년으로 예상되는 전국평균보다 빠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교수는 이에 따른 노인인구의 자살과 우울증이 증가함에 따라 심리와 정신 상담을 담당할 상담기관 설립이 필요함을 역설했다.
정찬연 혜원종합복지관 발달지원팀장은 복지사각지대에 놓인 이들에 대한 ‘사례관리 시스템의 구축’과 ‘장애인 경제활동 확대’, ‘계절학기 운영’을 제안했다. 정팀장은 “일반가정에 비해 장애인과 수급자, 차상위 계층들은 경제,가사,의료,거주 등 다양하고 복합적인 문제발생 빈도가 높다”면서 “복지사각지대에 있는 경우 지원의 어려움이 있다. 얼마 전 청주시가 이들에 대한 조사를 했다. 관리적 시스템이 필요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정팀장은 ‘장애인 경제활 인구의 확대 필요성’의 당위성을 설명하면서 “장애인도 사회의 한 구성원인데 사회적 편견으로 경제활동에 제역이 많다”고 전했다. 정팀장은 “장애인을 위한 실질적인 일자리와 일할 공간 마련이 필요하다. 또한 보호작업장을 확충하여 직업생활을 통해 사회구성원으로 많은 이들이 경제활동을 할 수 있게 해야한다”고 주장했다.
한인섭 충청타임즈 사회부장은 이날 좌담회에서 ‘교통약자 이용지원 해피콜 확대 및 시군 연계 운행’과 공공청사 장애인 편의시설 현황 정기적공개‘, ’공공기관 민원실 장애인 전담코너 설치와 확대‘를 제안했다. 한부장은 “장애인과 교통약자를 위한 해피콜 차량을 운행하고 있으나 청주와 청원을 제외한 나머지 시군은 차량 대수가 턱없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이용자들이 청주권을 벗어나면 가까운 시군도 이용이 어렵다”며 “두시간 이상의 거리를 벗어날 수 없다”고 전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한부장은 시군 지역의 해피콜 운행 예산 확보를 선결과제로 뽑았다. 한부장은 “다른 일선 시군은 자체예산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나 어려움이 많다며 예산지원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조광복 청주노동인권센터 노무사는 ‘따듯한 기업, 행복한 장애인’이라는 표어 아래 ‘장애인 고용확대를 위한 협력 확대’ 필요성을 역설했다. 조 노무사는 “기업들이 장애인의무고용률을 이행하지 않고 장애인고용부담금 납부로 대체하는 경향이 있다”며 “실질적인 개선책으로 지역 기업과 협력을 확대하는 방안을 찾아야한다”고 밝혔다. 조노무사는 “장애인 고용이 단순작업에만 국한되는 문제가 있다. 장애인의 장점을 발휘할 수 있는 직무와 직종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또한 조노무사는 도차원에서 한시적이라도 전담팀을 구성해 장애인고용의 모범사례를 발굴 해 해당방안을 상설화하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었으면 한다“고 밝혔다.
김덕환 충청북도 복지장애인팀장은 앞선 다섯 패널들의 모든 제안에 일일이 메모하면서 답변했다. 김팀장은 ”장애인 편의시설의 경우 관련 법률에 의거해 확충 중에 있다“고 밝혔다. 이어 김팀장은 ”임산부와 장애인의 이동편익 증진과 함께 부족한 부분이 있다는 것에 인식을 같이 한다“면서 ”예산문제도 있고 한계를 느끼고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각 공공기관과 함께 노력해 개선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또한 노인문제의 대처에 대해서는 ”거점단위와 시군단위 별로 확충하고 있으며 제안자의 인식과 같이 한다“고 답변했다.
이어 김팀장은 ”노인전문상담소의 경우 26개소가 운영 중에 있으며 전동구장치를 위한 도로확충 필요성에도 공감한다“고 전했다. 이어 복지사각지대에 놓인 이들에 대한 사례관리시스템 구축 제안에 대해서는 ”12개 시군 별 총 43명의 인원이 배치돼 상반기까지 1596명에 대한 시스템구축이 완료됐다“며 ”지난 7월부터는 읍면동까지 확대구축중“이라고 답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