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송 바이오밸리 첫 사업인
'커뮤니케이션센터' 건립 관련 추경 예산안의
도의회 통과가 순탄치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공사가 내년 3월에나 시작되는데
100억 원이 넘는 예산을 미리 세우는 것은
지방재정 운용 효율을 떨어트린다는 지적입니다.
채문영 기잡니다.

오송 바이오밸리의 첫 사업인
'커뮤니케이션센터' 건립.

중간 : 민자 유치 포기, 도비로 '커뮤니케이션센터' 건립

당초 민간자본 유치에서
전액 도비사업으로 변경됐습니다.

커뮤니케이션센터와 벤처연구센터 분양으로
2천억 원 가량의 수익을 창출하겠다는 계획도 없던 일이 됐습니다.

충북도는 이 사업 추진을 위해
이번 추경예산안에 건립비 115억 8천만 원을 계상했습니다.

중간 : 공사는 내년 3월 착공...예산 편성은 미리 '논란'

도가 제출한 전체 추경예산안 1128억 원의
10분의 1에 해당하는 큰 금액입니다.

하지만 관련 예산의 도의회 통과가
그리 순탄치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빨라야 내년 3월에나 시작되는 사업에
115억 원의 예산을 미리 세워두는 것은
지방재정 효율을 떨어트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INT - 박종성 도의회 예산결산위원장///    

내년 본 예산에 편성해도 늦지 않은데
굳이 시급한 현안 사업을 제치고
거액의 예산을 묵혀둘 일이 아니라는 얘깁니다.

115억 원중 올해 집행될 예산은
설계비 15억 원 가량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일단 세워놓고 보자는 식의 예산 편성이
도의회 문턱을 넘을 지 관심입니다.

HCN NEWS 채문영입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