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사회단체 충북네트워크 구성 집회보장 요구

전국적으로 '반값 등록금' 실현을 위한 물결이 거세게 일고 있는 가운데 충북에서도 대책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는 등 움직임이 거세지고 있다.

충북도내 시민사회로 구성된 '등록금대책을 위한 충북네트워크'는 10일 기자회견을 열고 "이명박 대통령은 반값 등록금 대선공약을 이행하고, 한나라당은 생색내기가 아닌 실질적 대안을 마련하라"고 요구했다.

이날 오전 한나라당 충북도당 앞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이들 단체는 "미친 등록금에 대한 분노가 대학생들의 촛불집회와 1인 시위로 표출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들 단체는 "한나라당이 국민여론에 밀려 반값 등록금 대책을 내놓았지만 국민과 대학생들이 만족할 만한 정책에는 한참 못 미친다"고 강조했다.

또 "말 그대로 반값 등록금의 실현을 원하는 국민들을 다시 한 번 실망시키는 한나라당의 처사에 국민들과 학생들은 분노하고 있다"고도 했다.

특히 "OECD 국가들의 대학등록금의 평균 정부재정 부담률은 69%에 이르지만 한국의 경우 정부 부담은 21%에 불과하고 나머지 79%를 학생과 학부모들이 부담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이어 "반값 등록금을 위해서는 최소 6조~6조5000억원의 예산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반값 등록금의 재원 마련을 위해 '부자감세 철회'와 내국세의 10%를 고등교육에 지원하는 '고등교육재정교부금'을 여·야간에 처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2011년 충북지역 총학생회단'도 이날 충청대학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현실적이고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반값 등록금을 이행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살인적으로 치솟는 등록금은 대학생 혼자서 해결할 수 없는 구조를 생산하고 있어 이는 대학생만의 문제가 아니라 전 사회의 문제"라며 "우리 300만 대학생들은 더 이상 정부와 이기적인 대학들의 기만에 분노하지 않을 수 없다"고 했다.

이어 "여·야 정치인들은 이 상황을 이용해 정치적 이득을 챙기려 하지 말고 현실적인 정책을 마련해 우리의 목소리를 정확히 대변하라"며 "다음주 학생들 차원의 순수한 집회를 계획할 것"이라고도 했다.

충북경실련도 보도자료를 내고 "정부와 정치권은 반값등록금 정책을 조속히 실행하라"라며 대학생들의 반값 등록금 촛불집회를 지지했다.

이어 "등록금을 마련하기 위해 사채를 쓸 수 밖에 없는 현실이 대학생들이 촛불을 들고 거리로 나올 수 밖에 없게 만들었다"며 "정부와 경찰은 평화로운 방법으로 정당한 주장을 펼치는 촛불집회를 적극 보장하라"고 밝혔다.

반값 등록금 실현을 위한 촛불문화제와 집회도 잇따라 열려 정부와 한나라당, 정치권의 책임 있는 대책 마련을 촉구할 예정이다.

청주지역 대학생들의 자발적 모임인 '반값등록금 실현을 위한 충북지역 학생모임'은 이날 오후 5시30분부터 7시30분까지 성안길 입구에서 반값 등록금 약속이행을 위한 촛불문화제를 연다.

특히 이날 촛불문화제에서는 대학별 시험기간임을 감안해 학생들이 함께 모여 1시간 정도 시험공부를 한 뒤 시민 인터뷰, 노래공연, 퍼포먼스, 대학생들의 소망 말하기 등의 행사를 진행한다.

민주노동당 청년당원들이 주축이 된 '반값 등록금 실현을 위한 충북공동대책위'도 이날 오후 7시30분 청주 철당간 광장에서 촛불집회를 개최한다.

대책위는 또 15일 반값 등록금을 요구하는 다른 시민사회단체 등과 함께 청주시 복대동 공단입구에서 대응 방안을 논의하는 시국회의도 열 예정이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