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오창테크노파크에서 열린 준공식에는 GM 스티븐 거스키 수석 부회장을 비롯 현대자동차그룹, 르노, 르노삼성, 포드 등 글로벌 메이저 자동차 업체 주요 인사들이 대거 참석해 자사 전기차에 배터리를 공급할 LG화학 공장의 완공을 축하했다.
지금까지 전기자동차 시장은 배터리가 가솔린의 보조수단으로 사용되는 하이브리드카(HEV, Hybrid Electric Vehicle)가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여기에는 일본업체가 주도하는 니켈수소 배터리가 적용됐다.
하지만, 지난 2009년 1월 LG화학이 니켈수소 배터리에 비해 50% 이상의 높은 출력과 에너지를 제공하면서도 더 가볍고 콤팩트한 구조의 리튬이온 배터리를 개발, GM의 전기차 쉐보레 볼트 배터리 공급업체로 선정된 후 판도가 급격히 바뀌었다.
전 세계 유수의 메이저 자동차 회사들이 배터리 성능이 대폭 향상되고, 전원 충전이 가능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카(PHEV,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나 배터리로만 주행하는 순수 전기차(EV, Electric Vehicle) 개발에 경쟁적으로 나서게 된 것이다.
이에 따라, 성능과 안전성 면에서 독보적인 기술력은 물론, 대량생산체제 구축으로 원가 경쟁력에서도 앞서 있는 LG화학의 리튬이온 배터리가 전 세계 자동차 회사들의 러브콜을 받게 되었다.
LG화학은 GM, 현대기아차, 르노, 포드, 볼보, 장안기차 등 국내는 물론 미국, 유럽, 중국 등 전 세계 10개 이상의 자동차 업체들을 고객사로 확보하고, 본격적인 공급에 들어갔다.
이미 지난 2009년 7월에 세계 최초로 리튬이온 배터리를 장착한 현대차의 아반떼 하이브리드카가 출시되었고, GM의 세계 최초 양산형 전기차인 쉐보레 볼트도 지난 연말부터 미국 도로를 달리고 있다.
이외에도 현대기아차의 소나타, K5 하이브리드카, 포드의 순수 전기차 '포커스(FOCUS)', 르노의 플루언스(Fluence) 등 LG화학의 배터리를 장착한 전 세계 수많은 전기자동차들이 최근 출시됐거나, 곧 출시를 앞두고 있다.
LG화학 배터리의 힘으로 오랫동안 공상 속에서만 그리던 전기자동차 시대가 우리 눈앞에 현실로 다가온 것이다.
LG화학은 예상보다 빠른 고객사들의 주문 증가로 인해 투자와 매출 계획 모두를 상향 조정했다. 당초 2013년까지 1조원의 투자를 2조원으로, 2015년 매출은 3조원에서 4조원으로 올렸다.
2015년에 LG화학은 전 세계 전기차 배터리 시장의 25%이상을 차지해 세계 1위의 지위를 더욱 확고히 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세계 각국은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산업에서 주도권을 갖기 위해 총성 없는 전쟁을 벌이고 있다.
미국의 경우 2015년까지 전기차 100만대를 양산한다는 목표아래 배터리 사업 분야 지원을 대폭 강화했다. 오바마 정부는 지난 2009년 8월에 발표한 24억불 규모의 전기자동차 개발 지원 프로젝트에서 15억불을 배터리 사업에 배정했다. 이 지원정책으로 LG화학도 미국 미시간주 홀랜드 현지 공장 건설에 1.5억불의 파격적인 현금 지원을 연방정부로부터 받게 됐다.
일본도 2009년 경산성 주도로 '차세대 자동차용 전지 기술개발 로드맵'을 발표했고, 중국도 과학기술부의 '863계획'에 의해 배터리 분야를 국가차원의 전략산업으로 육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 정부도 그린카 기술 4대 강국이 된다는 목표아래 지난해 12월에 2015년까지 그린카 140만대 생산, 100만대 수출 목표를 달성한다는 '그린카 산업발전 전략'을 발표했다.
또한 배터리 분야에서도 총 1.4조원의 민관합동 R&D투자를 집행해 차별화된 기술 확보 및 세계 시장 40%로 세계 1위로 부상한다는 계획이다.
이런 가운데 LG화학이 전기차용 배터리의 개발에서부터 대량 생산에 이르기까지 국내외 경쟁사들을 압도하는 사업속도로 세계시장을 점령함에 따라 우리나라가 저탄소 녹색성장의 핵심분야인 전기차 산업을 주도할 수 있는 결정적 계기를 마련하게 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