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시 100t 용량 절반 발생 인근 제천시 쓰레기 처리 제안
16일 충주시에 따르면 충북 충주시 이류면 두정리 클린에너지파크(쓰레기소각장)는 하루에 100t 가연성 생활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규모로 건설됐다.
그러나 지난해 10월 준공 이후 하루 반입되는 가연성 생활쓰레기는 70t 정도에 불과하다. 이마저도 대형 폐기물이 포함된 것이어서 실제 반입량은 하루 평균 50t 정도일 것으로 추산된다.
이는 소각로 운영효율 감소로 이어지고 있다. 이 때문에 몇 일분 쓰레기를 모아뒀다가 한꺼번에 소각하는 사례도 빈번한 실정이라고 시는 밝혔다.
클린에너지파크 소각로는 충주인구 30만명이 하루에 1㎏의 쓰레기를 배출하는 2014년을 기준으로 설계됐다. 그러나 시민들의 쓰레기 배출방식이 크게 개선되면서 쓰레기가 늘기는 커녕 되레 줄고 있다.
반면 2008년 6월부터 제천시 신동 쓰레기소각장(자원관리센터)을 가동 중인 제천시는 쓰레기가 너무 많아 걱정이다.
하루 50t의 가연성 생활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소각로를 갖추고 있는데, 쓰레기가 넘치는 날이 적지않다. 소각로로 들어가지 못한 쓰레기는 그냥 매립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반복되고 있다.
이 때문에 충주시는 소각로 운영 효율을 높이기 위해, 제천시는 소각장 증설을 위해 인접 지방자치단체에 '쓰레기 지원'을 요청하고 있는 것이다.
쓰레기 소각 처리를 대행해 주고 세외수입을 얻거나 소각장 광역화를 빌미로 정부의 소각장 증설허가와 건설 사업비 지원을 받아보자는 생각이다.
충주시는 소각장이 없는 괴산군에, 제천시는 단양군에 '은밀한' 쓰레기 거래를 제안한 것으로 전해졌다. 외지 쓰레기를 대놓고 받았다가는 자칫 지역 주민들의 거센 반발을 부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제안을 받은 괴산군이나 단양군은 "검토해 보겠다"는 입장이다. 단양군 관계자는 "사용 중인 매립장을 앞으로 5년 정도는 더 쓸 수 있어 아직은 외지 위탁처리를 검토할 시기가 아니지만 상황에 따라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충주시 관계자는 "70~100t을 넣었을때 소각로가 100% 효율을 내는데 쓰레기가 부족하다"면서 "시민들의 쓰레기 배출문화가 선진화되고, 인구가 예상보다 늘지 않으면서 황당한 쓰레기 걱정을 하게됐다"고 밝혔다.
제천시 관계자는 "정부의 소각장 건설비용 지원 기준에 맞추다보니 소각로를 너무 작게 만든 것 같다"며 "광역화가 소각장 증설의 한 방법이지만 주변지역 주민들의 저항이 불보듯 뻔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토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