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관련 기업보다 MRO 연계업체 필요성 제기돼

[충청일보]청주국제공항 운영권 매각에 국내 유력 건설사가 참여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건설사 배제를 위한 구체적인 대응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청주공항을 중부권 허브공항으로 육성하기 위해 항공기정비센터(MRO)와 연계된 운영권 매각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향후 적지 않은 문제점이 대두될 수 있기 때문이다.

충북도와 국내 항공업계 등에 따르면 한국공항공사는 지난달 28일 동양종합금융증권을 매각 주간사로 한 '청주국제공항 운영권 매각 공고'를 내고 이달 8∼10일까지 인수의향서를 접수받고 있다.

공개입찰로 진행되는 이번 청주공항 운영권 매각은 잠재적 투자자를 통해 제안서를 제출받고 평가 후 협상절차를 거치는 방식으로 진행되게 된다.

공항 주요 시설의 소유권은 공항공사가 그대로 보유하고 운영권만 민간에게 양도하게 되며, 공항 기본시설인 활주로, 유도로, 계류장, 여객·화물터미널 신·증축의 투자 주체는 정부, 민간운영자는 상업 시설 및 지원시설 신·증축 등으로 구분된다.

 이런 가운데 국내 굴지의 대기업 등 3~4곳이 참여하고, 이 중 건설부문을 포함하고 있는 S기업과 MRO 연계업체인 L기업 등이 '양강구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하지만, 건설부문을 포함하고 있는 대기업이 참여할 경우 청주공항 활성화보다는 자사이익에 몰두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실제, 청주공항과 관련된 주요 건설공사는 활주로 연장 등 공항시설과 부지 개발 등 다양하게 분포돼 있어 건설사들의 구미를 자극시킬 수 있다.

 우선 2743m로 대형 항공기 이·착륙이 어려운 활주로를 400m가량 연장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이럴 경우 활주로 연장 공사비만 1700억 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또 청주공항 운영권 매각에는 공항시설은 물론, 인근 부지 개발까지 포함돼 있다. 개발가능면적은 13만㎡ 규모로 물류기지와 항공산업단지, 의료복합단지, 쇼핑레저단지, 교육훈련원 등을 설치·운영할 수 있다.

 이중 청주공항의 주차장은 건설사가 수익창출을 위해 중점 공략대상으로 구상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용률이 높은 지상 주차장을 지하 주차장으로 변경하고, 지상에 공항 이용객들을 위한 수익시설을 건설하는 방안이 아이템 중 하나로 거론되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청주공항 운영권에 관심을 보이고 있는 S기업보다는 MRO와 저가항공사(LCC) 노선확충 등을 통해 공항활성화를 시도할 수 있는 L기업의 참여를 희망하는 여론이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관련, 도의 한 관계자는 "청주공항 운영권 매각이 공항공사 주관으로 진행되고, 공항 내 시설확충 역시 정부 주도로 이뤄지기 때문에 지자체가 관여할 방법이 사실상 없다"며 "하지만, 건설업체보다는 청주공항 활성화를 위해 지자체와 공조를 취할 수 있는 MRO 관련 업체의 낙점을 기대하는 분위기는 확산되고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