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 솎아베기 사업이후 생태계 단절 속출
정부는 지난 1983년까지 전국의 황폐된 산림에 녹화사업을 마치고 1988년부터 녹화된 산림의 자원화와 사후 관리를 위해 숲가꾸기 사업을 벌이고 있다.
특히 외환위기 때인 1998년부터는 실업자를 숲가꾸기에 투입하는 공공근로사업을 벌여 2002년까지 연평균 1만3000명을 고용한 데 이어 최근엔 숲가꾸기를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시책사업으로 정하고 일정규모 이상의 사업은 설계, 감리 제도를 의무화하는 등 품질혁신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숲가꾸기 일환으로 벌이고 있는 나무 솎아베기 사업의 경우 건강한 숲을 만들어 숲의 가치를 높인다는 당초 취지와는 달리 오히려 생태계를 파괴하고 주민들의 소득원인 야생버섯 산출마저 저해하고 있어 원성을 사고 있다.
실례로 괴산군 청천면 강평리와 후영리, 평단리 인근 야산의 경우 최근 산주(山主)들의 신청에 따라 나무 솎아베기 작업이 이루어진 뒤로 야생동물의 발길이 끊긴 '생태계 단절 구간'으로 변해버렸다. 굵기가 가는 나무에서부터 직경이 수십cm에 이르는 거목에 이르기까지 각종 잡목들이 수없이 베어진 채 숲속에 널브러져 있어 동물들의 이동을 가로막기 때문이다.
주민들에 따르면 이들 야산에는 솎아베기 작업이 이뤄지기 전까지만 해도 고라니, 오소리, 너구리, 멧토끼 등 각종 야생동물들이 대낮에도 눈에 띌 만큼 생태가 양호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더욱이 이들 야산은 수십년전부터 송이, 능이 등 각종 야생 버섯이 다량으로 산출돼 매년 가을철이면 인근 주민들의 주요 소득원이 돼 왔으나 솎아베기 작업이 이뤄진 뒤로는 아예 버섯이 전혀 나질 않아 주민들의 발길도 끊어진 상태다.
강평리 주민 P씨(63)는 "제 아무리 산주의 신청에 따라 이뤄지는 솎아베기 작업이라 할지라도 야생 동물마저 자유롭게 다니지 못할 정도로 아무렇게나 나무를 베어 놓는다면 그것이 어찌 건강한 숲을 만드는 일이라 할 수 있겠냐"며 "특히 수십년째 버섯 채취를 해 온 주민들의 입장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채 일방적으로 버섯 산출지의 환경을 훼손시키고 출입도 못하게 길을 가로 막아놓는 것이 진정한 숲의 가치를 높이는 일인지 되묻고 싶다"고 항변했다.
충북 생명의 숲 가꾸기 운동본부 관계자는 "사업 설계시 주변 생태계와 하층 식생을 고려하고 버섯 등 임산물과 관련해서는 인근 주민들의 여론도 함께 참고토록 돼 있으나 실상은 그렇지 못한 경우가 많은 것이 사실"이라며 "실적 위주보다는 질적 향상에 주력하는 숲가꾸기 풍토가 조기에 정착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