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도훈 흙살림 감물면지회장

이도훈 흙살림 감물면지회장

배추 한 포기 1만5000원. 있을 수 없는 일이 일어났다. 이제 한바탕 폭풍이 지나가고 배추값도 웬만큼 떨어졌으나, 아픈 상처는 여전히 남아있다. 날마다 김치를 먹어야 하는 한국인들에게 1만원 넘는 가격으로 배추를 사라고 하는 것은 살림을 포기하라고 하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국민들은 이번에 또 한 번 현 정부의 무능과 농업정책의 문제를 읽었다. 이렇게 되도록 대통령은, 장관은, 정치인들은 무엇을 했는가.

우리는 문제가 터진 뒤 ‘天災보나 人災’라는 말을 너무 자주 쓴다. 이 얼마나 무책임한 말인가. 이번에도 잦은 비와 한여름의 무더위라는 자연재난에 대비하지 못한 것은 엄연히 정부의 책임이다. 정부는 급하게 중국산 배추를 들여왔지만, 이는 미봉책에 불과하다. 농민들은 이 참에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지난 8일 충북 괴산군 감물면 백양리 배추밭에서 이도훈 흙살림 감물면지회장(53)을 만났다. 이 회장은 농약과 비료를 전혀 쓰지 않는 유기농 방식으로 배추농사를 짓고 있다.

괴산은 최근 소비자들에게 감동을 줬던 ‘괴산시골절임배추’의 고장이다. 이 곳은 배추값을 올리지 않고 소비자와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시세의 1/5 가격에 주문을 받아 전국적인 화제가 됐다. 유정복 농림수산식품부장관도 이 곳을 방문하고 고마움을 표시한 바 있다. 물론 이런 행정도 마음에 들지 않는다. 미리 대응하지 못하고 문제는 문제대로 터지게 둔 뒤 모범지역을 방문하는 게 장관의 역할은 아니기 때문이다.

- 배추 한 포기에 1만5000원, 어떻게 생각하는가.
“말도 안되는 가격이다. 나쁜 날씨로 인해 배추값이 조금 인상될 수는 있지만, 이 가격은 상상조차 하지 못했다. 봄에는 가을보다 날씨가 더 나빴는데도 이 정도로 폭등하지는 않았다. 중간상인들이 밭떼기로 포기당 800~850원에 사서 그 만큼 올린 것이다. 300평 전체 배추값이 작년에는 100만원이었는데 올해는 200~250만원이었다. 배추는 통상 가락동 농수산물시장에서 경매를 붙인 뒤 중간상인에 의해 도매-소매-소비자에게 넘어간다. 이 과정에서 엄청난 마진이 붙는 것이다. 그리고 올해는 4대강 개발로 인해 한강 유역의 여주, 낙동강 유역의 김해 농경지까지 없어져 물량이 더 줄었다. 정부는 아니라고 하지만, 이로 인한 영향도 크다.”

농민들에게는 포기당 800원에 산 배추가 여러 단계를 거치면서 눈덩이처럼 커져 시장에서는 1만5000원에 거래되는 이 유통구조를 대체 누가 이해할 수 있단 말인가. 이 회장에게 “악천후로 인해 생산량이 줄었으면 중간상인들은 오히려 마진을 덜 남기고서라도 배추값을 인상시키지 말아야 하는 것 아니냐”고 물었다. 정말 순진한 질문을 했다. 그러자 “장사꾼들이 이런 ‘호기’를 놓쳐? 그 사람들은 김장철까지 물량이 없다는 것을 뻔히 알고 더 많은 이익을 남긴 것”이라는 답변이 돌아왔다.

- 그럼 농민들도 돈을 벌었어야 정상인데, 이번에 돈 좀 벌었나
“말도 마라. 오히려 손해다. 농민들은 작년까지 중간상인들에게 포기당 500~600원에 팔았다. 올해 250~300원 더 받은 것인데 원가는 훨씬 더 들어갔다. 올해 대체로 배추농가의 수입이 30~40%는 떨어졌다. 나도 귀농한 사람 두 명과 함께 2만5000평 농사를 짓는데 작년보다 절반가량 줄었다. 날씨 때문이다. 날씨가 원만하고 싸게 파는 게 오히려 이익이다. 올해는 봄에 비가 너무 많이 오고, 여름에는 너무 더워 모종한 게 많이 죽었다. 가뭄에는 곡식을 먹어도 장마에는 못 먹는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습한 날씨는 농사에 매우 좋지 않다.”

- 농사에는 날씨가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왜 정부는 대비를 안 했는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
“이런 일이 발생할 것을 정부는 몰랐을까? 아니다. 관련기관에서는 수시로 작황조사를 한다. 이런 일 하기 위해 앉아있는 관리들이 얼마나 많은데···농민들은 정부가 농업을 포기했다고 생각한다. 미국에는 소고기 시장, EU에는 돼지고기 시장, 중국에는 모든 시장을 다 내주고 우리는 자동차나 수출하겠다는 것 아닌가. 우리나라의 주소득원이 쌀, 과일, 축산물인데 FTA를 통해 이 시장을 외국에 다 내준 이상 농업은 희망이 없다.”

배추값 파동에 손놓고 있던 정부는 뒤늦게 당·정·청 ‘배추 회의’를 연 것으로 알려졌다. 버스가 지나갔어도 한 참 지난 시간에 손들고 있는 정부의 모습이 참으로 우습다.

- 유기농 먹을거리를 소비자와 연결해주는 생협이나 한살림 같은 곳에서는 소비자 가격이 폭등해도 종전 가격으로 공급하는데 이번에도 변함없나.
“그렇다. 소비자와의 약속이기 때문에 반드시 지킨다.”
생협과 한살림 같은 단체는 지난해 미국산 쇠고기 광우병 파동 때 한우로 가치를 한 껏 높인데 이어 이번에는 정상적인 배추가격으로 다시 한 번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계약재배를 통해 채소값이 아무리 폭등해도 일정한 가격으로 공급하기 때문이다. 이 회장은 ‘흙사랑 영농조합법인’을 설립해 생산물을 도시 소비자와 직거래하는 한편 생협·한살림 등에도 공급하고 있다. 인터넷 다음 카페 ‘감물 느티나무장터’에서는 김장용 절임배추를 한 박스당 3만원에 예약을 받아 한동안 인기를 끌었다. 지난해와 동일한 가격이다.

괴산군은 유기농 농가가 많은 곳으로 유명하다. 한살림운동을 해온 조희부 씨와 풀무원 창업자인 원경선 씨가 둥지를 튼 곳이고, 아이쿱생협연대가 대규모 친환경유기식품밸리를 조성중에 있으며 흙살림연구소도 있다. 괴산은 이런 점을 특성화시켜 친환경단지로 자리매김하는 게 좋을 것 같다. 이 회장은“괴산의 친환경 역사는 25년가량 된다. 귀농인구도 많다”고 동의했다.

- 배추값 파동 같은 문제를 다시 겪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근본적으로는 농업을 살리고 잘못된 유통구조를 바로잡아야 한다. 우리는 생산자-소비자간에 직거래를 많이 하는데, 이 제도가 활성화돼야 한다. 유기농에도 중간상인이 끼어들면 현 유통구조와 비슷한 구조가 만들어질 것이다.”

이 회장은 온통 푸른색인 자신의 배추밭에서 우리 농업의 앞날을 걱정했다. 멀리서는 고르게 보였던 배추포기가 자세히 보자 다소 들쭉날쭉했다. 그는 고라니가 배추를 뜯어먹어 다시 심은 게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올해는 악천후와 짐승들의 피해로 농사를 망쳐 다시 모종한 게 많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서도 농민들의 힘든 과정을 알 수 있었다. 생산자와 소비자가 함께 웃는 날은 과연 언제일까.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